正本首楞嚴經 卷 3
또다시 아난아! 어찌하여 육입이 본래 여래장인 오묘한 진여
의 성품이라고 하느냐?
아난아! 가령 어떤 사람이 눈동자를 움직이지 않고서 오래도
록 똑바로 보다가 피로해지면 곧 허공에서 또다른 헛보이는 꽃
이 보일 것이니 그 눈과 피로는 다같은 보리로서 똑바로 보다
가 피로해져서 생긴 현상이니라.
밝음과 어두움의 두 가지 허망한 경계로 인하여 보는 것이
생겨 그 중간에 있으면서 이 물질의 현상[色像]을 흡수하여 들
이는 것을 '보고 깨닫는 성품[見覺性]'이라고 하니 그 보는 놈
의 밝음과 어두움의 두 가지 대상을 벗어나면 마침내 본다는
그 자체가 없을 것이다.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저 보아 깨닫는 성품은 밝고
어두운 데에서 온 것이 아니며 눈에서 생긴 것도 아니고 허공
에서 나온 것도 아니다. 왜 그런가 하면 만약 밝은 데로부터
왔다면 어두워지면 곧 따라 없어져야 하리니 응당 어두움을 보
지 못할 것이고, 만약 어두운 데로부터 왔다면 밝아지면 곧 따
라 없어져야 하리니 응당 밝음을 보지 못할 것이고, 만약 눈에
서 생긴 것일진댄 반드시 밝음과 어두움이 없으면 이렇게 보는
정기가 본래 자성이 없을 것이며, 만약 허공에서 나온 것이라
면 보는 놈이 있으면 자성을 이룰 것이니 곧 허공이 아닐 것이
다. 또 허공이 스스로 볼 것이니 너의 입(入)과 무슨 상관이
있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눈으로 보아 이해하거나 인식
하는 것[眼入]은 허망한 것이어서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가령 어떤 사람이 두 손가락으로 갑자기 귀를 막아
서 그것이 오래되어 피로해지면 머리 속에서 또다른 허망한 소
리가 들릴 것이니 귀와 피로는 다같은 보리로서 똑바로 보다가
피로해져 생긴 현상이니라.
움직이는 것과 고요한 것, 이 두 가지 허망한 대상으로 인하
여 듣는 것이 생겨 중간에 있으면서 이 소리를 흡수하여 들이
는 것을 '들어 깨닫는 성품이라고 하니, 그 듣는 놈이 움직임
과 고요함의 두 가지 허망한 대상을 벗어나면 마침내 듣는다는
그 자체가 없을 것이다.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들어 깨닫은 성품은 움직임
과 고요함에서 온 것이 아니며 귀에서 생긴 것도 아니고 허공
에서 나온 것도 아니다. 왜 그런가 하면 만약 움직임에서 왔다
면 고요해지면 곧 따라 없어져야 하리니 응당 고요함을 듣지
못할 것이고, 만약 고요한 데서 왔다면 움직이면 곧 따라 없어
져야 하리니 응당 움직임을 듣지 못할 것이고, 만약 귀에서 생
긴 것이라면 반드시 움직임과 고요함이 없으면 이러한 듣는 정
기가 본래 자성이 없을 것이고, 만약 허공을 좇아 나온 것이라
면 듣는 놈이 있으면 자성을 이룰 것이니 곧 허공도 아닐 것이
거든 또 허공이 스스로 들을 것인데 너희 입(入)과 무슨 상관
이 있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귀로 들어 이해하거나 인식하
는 것[耳入]은 허망한 것이어서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
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가령 어떤 사람이 코로 숨을 급하게 들이쉬어서 오
래 들이쉬고 있으면 피로가 생겨서 코 속에 찬 촉감이 있음을
느낄 것이니, 그 촉감으로 인하여 트이고 막힘과 허하고 실한
것을 분별하며, 그와 같이 모든 향기와 구린내까지도 맡는 것
이니 코와 피로는 다같은 보리로서 똑바로 보다가 피로해져서
생긴 현상이니라.
트인 것과 막힌 것, 이 두가지 허망한 대상으로 인하여 냄새
맡음이 생겨 중간에 있으면서 모든 냄새를 흡수하여 들이는 것
을 '맡아 깨닫는 성품'이라고 하니, 그 냄새를 맡는 놈이 트임
고 막힘의 두 가지 허망한 대상을 여의면 마침내 냄새라는 그
자체가 없을 것이다.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맡아 깨닫는 성품은 트이고
막힌데서 온 것이 아니며 코에서 생긴 것도 아니고 허공에서
나온 것도 아니다. 왜 그런가 하면 만약 트인데서 왔을진대 막
히면 곧 따라서 없어져야 하리니 응당 막힘을 느끼지 못할 것
이며, 만일 막힌데서 왔을진대 트이면 곧 따라서 없어져야 하
리니 응당 트임을 느끼지 못할 것이고, 만약 코에서 생긴 것일
진대 반드시 트임과 막힘이 없으면 그와같이 맡는 정기가 본래
자성이 없을 것이고, 만약 허공에서 나온 것일진댄 냄새를 맡
는 놈이 있으면 자성을 이루리니 곧 허공이 아닐 것이려든 또
허공이 스스로 냄새를 맡는 것이거니 너의 입(入)과 무슨 상관
이 있겠느냐?
아난아! 가령 어떤 사람이 혀로 입술을 핥아서 오래오래 핥
다가 피로가 생기면 그 사람이 만약 병이 있으면 쓴 맛을 느낄
것이고, 병이 없는 사람이면 약간 단 촉감을 느낄 것이다. 그
달고 쓴 것으로 인하여 저 혀의 의식이 드러날 것이고, 핥지
않을 적에는 담담한 성품이 항상 있으리니 혀와 피로는 다같은
보리로서 똑바로 보다가 피로해져서 생긴 현상이니라.
달거나 쓴 맛과 담담한 두 가지의 허망한 대상으로 인하여
맛을 봄이 생겨 그것이 중간에 있으면서 이 맛을 흡수하여 들
이는 것을 '맛보아 깨닫는 성품'이라고 하니, 그 맛을 보는 놈
이 달거나 쓴 맛과 담담한 두 가지 허망한 대상을 여의면 마침
내 맛이라는 그 자체가 없어질 것이다.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맛보아 깨닫는 성품은 달고
쓴데서 온 것이 아니며 담담한 맛에서 온 것도 아니며 혀에서
생긴 것도 아니며 허공에서 나온 것도 아니다. 왜 그런가 하면
만약 달고 쓴데서 왔을진대 담담하면 곧 따라 없어져야 하리니
어떻게 담담한 맛을 알 것이며, 만약 담담한데서 왔을진대 달
거나 쓰면 곧 따라 없어져야 하리니 어떻게 그 달고 쓴 맛을
알 것이며, 만약 혀에서 생긴 것이라면 반드시 달거나 쓰거나
담담함이 없으면 이렇게 맛보는 정기가 본래 자성이 없을 것이
며, 만약 허공에서 나온 것이라면 맛을 보는 놈이 있으면 자성
이 이루어지리니 곧 허공이 아닐 것이려든 또 허공이 스스로
맛볼 것이니 그것이 너의 입(入)과 무슨 상관이 있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혀로 맛보아 이해하거나 인식
하는 것[舌入]은 허망한 것이어서 본래 인연도 아니고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가령 어떤 사람이 찬 손으로 뜨거운 손을 잡았을 적
에 만약 찬 기운이 많으면 뜨거운 손이 차가워질 것이고 만약
더운 기운이 많으면 찬 손이 뜨거워지리니, 이와 같이 합했을
때 깨닫는 촉감은 서로 떨어져도 느낌이 남아 있나니 교섭하는
세력이 만일 이루어진다면 접촉으로 인한 피로 때문일 것이니
몸과 피로는 다같은 보리로서 똑바로 보다가 피로해져서 생긴
현상이니라.
떨어지고 합하는 두 가지 허망한 대상으로 인하여 촉감이 생
겨 중간에 있으면서 이 촉감을 흡수하여 들이는 것을 '느껴 깨
닫는 성품'이라고 하니, 이 느낌이 떨어지고 합하는 것과 배반
하고 따르는 두 가지 허망한 대상을 여의면 마침내는 느끼는
그 자체가 없으리나.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느껴 깨닫는 성품은 본래
떨어지거나 합해진데서 온 것이 아니고 어긋나거나 따르는데서
온 것도 아니며 몸에서 생긴 것도 아니고 허공에서 나온 것도
아니니 왜 그런가 하면 만약 떨어지는 데서 온 것이라면 합하
면 곧 따라서 없어져야 하리니 어떻게 합하는 것을 느끼며, 만
약 합하는 데서 온 것이라면 떨어지면 곧 따라서 없어져야 하
리니 어떻게 떨어짐을 느끼겠느냐? 어긋남과 따르는 두 가지
현상도 역시 그러한 것이며, 만약 몸에서 생긴 것이라면 반드
시 떨어짐과 합함과 어긋남과 따르는 것이 없으면 이와 같이
느끼는 정기가 본래 자성이 없으며, 만약 허공에서 나온 것이
라면 느낌이 있으면 자성을 이룰 것이니 곧 허공도 아닐 것이
려든 또 허공이 스스로 느끼는 것이거니 너의 입(入)과 무슨
상관이 있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몸의 접촉으로 인식하는 것
[身入]은 허망한 것이어서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
품이니라.
아난아! 가령 어떤 사람이 피로하면 잠자고 실컷 자고는 문
득 깨어서 대상을 보면 기억하며, 그 기억이 사라지면 잃어버
리는 것이 바로 뒤바뀐 생겨나고 머무르고 변하고 없어지는 것
이니, 습관을 흡수하여 들여서 그것이 가운데로 돌아가되 서로
뛰어넘지 아니함을 '생각으로 인식하는 근원'이라고 하나니 생
각과 피로는 모두다 보리로서 똑바로 보다가 피로해져서 생긴
현상이니라.
생기고 없어지는 두 가지 허망한 대상으로 인하여 모아진 앎
이 중간에 있으면서 내진(內塵)을 흡수해 들여서 그 보고 들음
이 다섯 가지 감각기관의 흐름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 거꾸로
흐름을 '알아 깨닫는 성품'이라고 하니 그 앎이 생기고 없어지
는 것과 깨고 잠자는 두 가지 허망한 대상을 벗어나면 마침내
그 자체가 없어질 것이다.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알아 깨닫는 성품은 생기거
나 없어지는데서 오는 것이 아니고 깨거나 잠자는데서 오는 것
도 아니며 몸에서 생기는 것도 아니고 허공에서 나오는 것도
아니니 왜 그런가 하면 만약 생기는데서 온 것이라면 없어지면
곧 따라서 없어져야 하리니 누구로 하여금 없어짐을 알게 하
며, 만약 없어지는데서 온 것이라면 생기면 곧 따라서 없어져
야 하리니 어떻게 생기는 것을 알겠느냐? 깨고 잠자고 하는 두
가지 형상도 역시 그러하다. 만약 생각에서 생긴 것이라면 반
드시 생기고 없어지고 깨고 잠자는 것이 없으면 이와 같이 아
는 정기가 본래 자성이 없으며, 만약 허공에서 나온 것이라면
지각이 있으면 자성을 이룰 것이니 곧 허공도 아닐 것이려든
또 허공이 스스로 지각하는 것이거니 너의 입(入)과 무슨 상관
이 있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뜻으로 생각하여 인식하는 것
[意入]은 허망한 것이어서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
품이니라.
또다시 아난아! 어찌하여 십이처(十二處)가 본래 여래장인
오묘한 진여(眞如)의 성품이라고 하느냐?
아난아! 네가 다시 기타림 숲과 모든 샘물과 못들을 보아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이런 것들은 물질의 모양이 눈으로 보는
작용을 생기게 한다고 여기느냐 눈이 물질의 모양을 생겨나게
한다고 여기느냐?
아난아! 만약 눈이 색질의 모양을 생기게 하는 것이라면 허
공을 볼 적에는 색질의 모양이 아니므로 색질의 성품이 응당
사라질 것이다. 색질의 성품이 사라지면 나타나는 모든 것이
없어진다. 색질의 모양이 이미 없어지면 누가 허공의 본질(本
質)을 밝히겠느냐? 허공도 역시 그러하니라.
만약 물질이 눈으로 보는 데서 생기는 것이라면 허공을 볼
적에는 물질의 모양이 아니므로 눈으로 보는 것이 곧 사라져
버리리니 사라져 없어지면 모두가 없어질 것인데 무엇이 허공
허공인지 물질인지 밝히겠느냐?
아난아! 너는 다시 이 기타원 가운데서 밥이 마련되면 북을
치고 대중을 모을 적엔 종을 쳐서 그 북과 종소리가 앞뒤로 서
로 연속됨을 들어 보아라. 어떤 생각이 드느냐? 그런 것들은
소리가 귀가에 온다고 생각되느냐? 아니면 귀가소리 있는 곳
으로 간다고 생각되느냐?
아난아! 만약 그 소리가 귀 가에서 오는 것이라면 내가 시라
벌성에서 걸식을 할 적에 기타림에는 내가 없는 것처럼 그 소
리가 반드시 아난의 귀 가에 온 것이라면 목련과 가섭은 응당
함께 듣지 못해야 할 것이어늘 어찌 그 가운데 千二백 五十명
의 사문들이 한꺼번에 종소리를 듣고 밥 먹는 곳으로 모두 모
이느냐?
만약 네 귀가 소리나는 곳으로 갔다면 내가 기타림에 왔을
적에는 시라벌성엔 내가 없는 것과 같아서 네가 북소리를 들을
적엔 그 귀가 이미 북치는 곳으로 갔으면 종소리가 함께 나더
라도 응당 모두 듣지 못할 것이거든 더구나 어떻게 그 가운데
코끼리, 말, 소, 염소 등 갖가지 소리를 한꺼번에 들을 수 있
다더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듣는 것과 소리는 모두 처소
가 없으므로 듣는 곳과 소리나는 곳의 두 처소는 허망한 것이
어서 본래 인연도 아니고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너는 다시 이 향로에서 나는 전단향 냄새를 맡아 보
아라. 그 향을 만약 한 수(銖)만 태우면 시라벌성 四十리 안에
서 동시에 그 향기를 맡을 것이다. 네 생각엔 어떠하냐? 그 향
기는 전단향 나무에서 나온다고 생각하느냐 너의 코에서 생겼
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허공에서 난다고 생각하느냐?
아난아! 그 향기가 너의 코에서 생긴 것이라서 코에서 나온
것이라 하면 마땅히 코에서 나와야 할 것인데 코가 전단이 아
니거늘 어떻게 코 속에 전단의 향기가 있다고 하겠느냐? 네가
향기를 맡는다고 한다면 마땅히 코로 들어가야 할 것인데 코
속에서 향기가 나온다면 냄새를 맡는다는 말은 옳지 못하니라.
만약 허공에서 생긴 것이라면 허공의 성품은 항상한 것이므
로 향기도 항상 있어야 할 것인데 어째서 향로에다 이 나무를
태워야만 향기가 생긴다더냐?
만약 나무에서 생긴 것이람녀 그 향기의 본질은 태우므로 인
하여 연기가 되었으므로 코가 냄새를 맡을 적에는 응당 연기가
코로 들어가야 할 것인데, 그 연기가 공중으로 올라가 멀리 퍼
지기도 전에 四十리 안에서 어떻게 그 냄새를 맡게 되는 것이
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향기와 코와 냄새를 맡는 것
이 모두 처소가 없어서 냄새 맡는 곳과 향기나는 곳의 두 가지
는 허망한 것이라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
라.
아난아! 네가 매일 두 때씩 대중 가운데서 발우를 가지고서
이따금 유병(油餠)이나 밀반(蜜飯)을 만나게 되면 최고의 맛이
라고 하나니 네 생각은 어떠하냐? 그 맛은 허공에서 생긴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음식에서 생긴다고 생각하느냐?
아난아! 만약 이 맛이 너의 혀에서 나온 것이라면 너의 입
속에는 혀가 하나 뿐이니 그 혀는 조금전에 이미 단 맛이 되었
으므로 흑석밀(黑石蜜)을 먹게 되더라도 응당 달라짐이 없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달라지지 않는다면 맛을 안다고 할 수
없고 만약 달라진다면 혀가 여러 개가 아닌데 어떻게 여러가지
맛을 한 개의 혀로서 알겠느냐?
만약 음식에서 생기는 것이라면 음식은 의식이 있는 것이 아
닌데 어떻게 스스로 알겠느냐? 또 음식이 스스로 안다면 곧 다
른 사람이 먹는 것과 같을 것이니 너와 무슨 관계가 있길래 맛
을 안다고 하느냐?
만약 허공에서 생기는 것이라면 네가 허공을 씹어보아라. 무
슨 맛이더냐? 만약 허공이 짠 맛이라면 이미 너의 혀를 짜게
하였으므로 네 얼굴도 짜야 하리니 그렇다면 이 세계의 사람들
은 바다의 고기와 같아서 늘 짠 것을 받아왔으므로 담담함을
알지 못할 것이다. 만약 담담함을 알지 못한다면 역시 짠 것도
느끼지 못해서 반드시 아는 것이 없을 것이니 어떻게 맛을 안
다고 하겠느냐?
그러므로 마땅이 알아야 한다. 맛과 혀와 맛을 보는 것이 모
두 처소가 없어 맛보는 것과 맛, 이 두 가지는 허망한 것이어
서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네가 항상 새벽마다 손으로 머리를 만지면 어떤 생
각이 드느냐? 그 만져서 느끼는 것은 어느 것이 감촉을 느낀다
고 생각하느냐? 느끼는 것이 손에 있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머리에 있다고 생각하느냐?
만약 손에 있는 것이라면 머리는 느낌이 없어야 하리니 어떻
게 감촉을 느낀다더냐?
만약 머리에 있을 것 같으면 손은 쓸모가 없으리니 어떻게
접촉한다고 하겠느냐?
만약 각각 있는 것이라면 너 아난은 응당 두 몸둥이가 있어
야 할 것이다. 만약 머리와 손이 한 번의 접촉으로 생기는 것
이라면 곧 손과 머리가 한 몸이 되어야 할 것이고, 만약 한 몸
이라면 감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며, 만약 두 몸이라면 감
촉이 어디에 있단 말이냐? 손에 있다면 머리는 느끼지 못해야
할 것이고, 머리에 있다면 손은 몰라야 할 것이니 허공이 너와
더불어 감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촉감을 느끼는 것과 몸은 모
두가 처소가 없어서 몸과 감촉, 이 두 가지는 허망한 것이라서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네가 항상 생각속에 반연하는 착한 성품과 악한 성
품, 그리고 무기성(無記性)의 세 가지 성품이 법칙(法則)을 생
성(生成)하나니, 이 법칙은 마음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냐 아니
면 마음을 떠나서 별도로 처소가 있는 것이냐?
아난아! 만약 마음에 의한 것이라면 법(法)은 대상이 아니므
로 마음의 반연하는 바가 아니거니 어떻게 처소를 이루겠느냐?
만약 마음을 떠나서 따로이 방소가 있는 것이라면 법칙의 자
성이 앎이 있느냐 없느냐? 만약 앎이 있다면 마음이라고 이름
할 수 있겠지만 그러나 너와는 상관없을 것이고 그렇다고 대상
도 아니므로 다른 사람의 마음과 같은 것이니 너에 의한 것이
며, 마음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면 어찌하여 네 마음이 네게 있
어서 다시 둘이 되겠느냐? 만약 앎이 없다면 그 대상은 빛, 소
리, 향기, 맛과 떠나거나 합해지는 것과 차거나 따뜻한 것과
허공의 모양도 아닐 것이니 어디에 있다고 하겠느냐? 지금 물
질과 허공에 모두 표시할 수 없으니 응당 인간이 다시 허공 밖
에 있지 아니하니라. 마음이 반연하는 것이 아니면 법의 처소
가 어디로부터 이루어지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법칙과 마음이 모두 처소가
없어서 마음과 법칙, 이 두 가지는 허망한 것이라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또다시 아난아! 어찌하여 十八계(界)가 본래 여래장인 오묘
한 진여의 성품이라고 하느냐?
아난아! 네가 밝힌 것과 같이 '눈과 빛이 인연이 되어서 안
식(眼識)이 생긴다'고 하나니, 그 인식은 눈으로 인해서 생긴
것이므로 눈으로 경계(界)를 삼아야 한다고 하겠느냐? 아니면
물질로 인하여 생긴 것이므로 물질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하
겠느냐?
아난아! 만약 눈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라면 이미 빛과 허
공이 없으면 분별할 수가 없을 것이어니 비록 너의 의식이 있
은들 어디에 쓰려하느냐? 네가 보는 것이 또 푸른색, 노란색,
붉은색, 흰색이 아니라서 표시할 수가 없는데 무엇으로 경계를
성립하려느냐?
만약 물질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면 허공이 색깔이 없을 적에
는 너의 의식도 응당 없어져야 하리니 어떻게 그것이 허공의
성품인 줄을 알 것이며, 만약 색깔이 변할 적엔 너도 그 색깔
의 모양이 변함을 안다면 너의 의식은 변하지 않는 것인데 경
계가 어디를 좇아 성립되겠느냐?
따라서 변하는 것이라면 곧 변하므로 경계의 모양이 스스로
없을 것이며 변하지 않는다면 곧 항상하더라도 이미 빛을 따라
생겼으므로 응당 허공의 소재를 알지 못할 것이다.
만약 두 가지를 겸해서 눈과 빛이 함께 생기게 했을진댄 합
하였다면 가운데가 나뉘어지고 서로 나뉘어진 것이라면 둘이
합하여진다. 그 체성(體性)이 섞이어 혼란할 것이니 어떻게 경
계를 이루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눈과 빛이 인연이 되어서 눈
으로 보아 아는 경계를 생기게 한다고 하는 그 세 가지가 모두
없는 것이어서, 눈과 빛 그리고 빛의 경계, 이 세가지가 본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네가 밝힌 바와 같이 '귀와 소리가 인연이 되어서
귀로 들어 아는 것이 생긴다'고 하나 그 의식은 귀로 인하여
생긴 것이므로 귀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소리로 인하여 생긴 것이므로 소리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
각하느냐?
아난아! 만약 귀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면 움직이고 고요한
두 가지 현상이 이미 앞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귀가 앎을 이루
지 못할 것이고 반드시 아는 것이 없다면 안다는 것도 오히려
성립됨이 없을 터이니 인식이 어떤 모양이겠느냐? 만약 귀로
듣는 것을 취한다면 움직이고 고요함이 없으므로 듣는 것이 성
립될 수 없으리니 어떻게 귀와 형상이 물질과 감촉이 섞인 것
을 가지고 인식의 경계라고 하겠느냐? 귀로 인식하는 경계가
다시 어디를 따라 성립되겠느냐?
만약 소리에서 생기는 것이라면 귀가 인식하는 것은 소리로
인하여 있는 것이므로 듣는 것과는 직접 연관이 없을 것이니
듣는 그 자체가 없다면 소리의 소재가 없을 것이다. 저 인식하
는 것이 소리를 좇아 생기고 소리는 듣는 것으로 인하여 소리
의 모양이 생긴다고 인정한다면 들을 적에 응당 그 인식하는
것을 들어야 하며 듣지 못한다면 귀가 인식하는 경계가 아니리
라.
듣는 것은 소리와 같아서 의식이 이미 들음을 당하였거니,
또다시 무엇이 의식을 듣는 것인 줄 알겠느냐? 만약 앎이 없다
면 마침내 풀이나 나무와 같을 것이다.
소리와 듣는 것이 섞이어서 중간의 경계를 이루지는 못했을
것이니 귀가 인식하는 경계가 중간 위치가 없으면 안과 밖의
모양이 다시 어디로부터 어떻게 성립되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귀와 소리가 인연이 되어서
귀가 인식하는 경계를 생기게 한다고 하는 세 가지는 모두 없
는 것이므로 귀와 소리 그리고 소리의 경계, 이 세 가지는 본
래 인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네가 밝힌 것과 같이 '코와 향기가 인연이 되어서
코의 인식이 생긴다'고 하는데 그 의식은 코로 인하여 생긴 것
이므로 코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향기로
인하여 생긴 것이므로 향기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느
냐?
아난아! 만약 코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면 네 마음 속에 그
무엇을 코라고 하겠느냐? 살로 된 한 쌍의 오이 모양이라고 생
각하느냐? 냄새를 맡아 아는 움직이는 성품이라고 생각하느냐?
만약 살로된 모양이라고 여긴다면 살로 된 바탕은 곧 몸이고
몸이 느끼는 것은 곧 감촉이니 몸이라고 하면 코는 아니고 감
촉이라고 하면 이는 곧 감촉의 대상이다. 코도 오히려 이름할
수 없거니 어떻게 경계를 이루겠느냐?
만약 냄새를 맡아 아는 것이라고 생각할진댄 또 네 마음 속
에 무엇으로 안다고 생각하느냐? 살이 안다고 한다면 살이 아
는 것은 본래가 감촉이지 코가 아니며 허공이 안다고 한다면
허공은 스스로 아는 것이라서 살은 응당 깨닫지 못할 것이니
그렇다면 이는 허공이 곧 너이고 네 몸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오늘의 아난은 응당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향기가 안다고 생각한다면 아는 그 자체가 향기에 속하는데
너와 무슨 상관이 있겠느냐? 만약 향기와 구린 냄새가 반드시
네 코에서 생기는 것이라면 그 향기와 구린내, 이 두 가지 냄
새가 이란(伊蘭)이나 전단향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이 두
가지 물질이 오지 않을 적에 네가 네 코를 맡아 보아라. 향기
로우냐 구리냐?
구린 냄새는 향기가 아니며 향기는 응당 구리지 않으리니 만
약 향기와 구린내, 이 두 가지를 다 맡을 수 있는 것이라면 너
한 사람이 응당 두 코가 있어야 할 것이다. 나에게도 물을 적
에도 두 아난이 있으리니 어느 것이 너의 몸이더냐?
만약 코가 하나라면 향기와 구린내 두 가지가 아니라 구린내
가 이미 향기가 되며 향기가 다시 구린내가 되어서 두 성분이
있지 아니하리니 경계가 무엇으로 인하여 성립되겠느냐?
만약 향기에 인하여 생긴다면 그 인식은 향기로 인하여 있는
것이니 이는 마치 눈이 다른 것은 볼 수 있으면서도 눈은 보지
못하는 것과 같아서 향기로 인하여 있는 것이므로 응당 향기를
알지 못하리니 안다면 향기에서 생긴 것이 아니고 알지 못한다
면 이는 코가 인식하는 것이 아니다.
향기가 앎으로 인하여 있는 것이 아니며 향기의 경계가 성립
되지 못하고 인식하는 것이 향기를 느끼지 못하면 인식하는 경
계가 향기로 해서 이루어짐이 아니리라.
이미 중간이 없으면 안팎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저 냄새맡는
성품이 마침내 허망한 것이다.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코와 향기가 인연이 되어서
코가 인식하는 경계가 생긴다고 하는 세 가지는 모두 없는 것
이므로 코와 향기 그리고 향기의 경계, 이 세 가지는 본래 인
연도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네가 밝힌 바와 같아서 '혀와 맛이 인연이 되어서
혀의 인식이 생긴다'고 하니 그 혀의 인식은 혀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서 혀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맛으
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서 맛으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
느냐?
아난아! 만약 혀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면 모든 세간의 감자
와 오매와 황연과 소금과 세신과 생강, 계피가 모두 맛이 없을
것이다. 네가 네 혀를 맛보아라. 달더냐 쓰더냐?
만약 혀의 성품이 쓰다면 누가 와서 혀를 맛보겠느냐? 혀가
스스로 맛보지 못할 것이어니 무엇이 알아 깨닫겠느냐? 혀의
성품이 쓴 것이 아니라면 맛이 저절로 생기지 않을 터이니 어
떻게 경계가 이루어지겠느냐?
만약 맛으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면 인식하는 것이 스스로 맛
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는 곧 혀와 같아서 응당 스스로
맛보지 못할 것인데 어떻게 맛인지 맛이 아닌지를 알겠느냐?
또 온갖 맛이 한 물건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맛이 여러 가
지에서생기므로 그 인식하는 것도 응당 여러 개의 몸이 될 것
이며, 인식하는 본체가 만약 하나이고 그 체는 반드시 맛에서
생기는 것이라면 짜고 담담하고 달고 매운 맛의 화합된 것이거
나 함께 생기는 것과 여러 가지로 변하여 달라진 것이 함께 동
일 맛이 되어서 응당 분별이 없을 것이다. 분별이 이미 없으면
인식한다고 할 수 없거니 어떻게 혀가 맛보아서 인식하는 경계
라고 하겠느냐? 허공이 너의 마음에 인식을 생기게 하지는 못
할 것이다.
혀와 맛이 화합하면 곧 그 가운데는 본래 자성이 없을 것인
데, 어떻게 경계가 생기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혀와 맛이 인연이 되어서 혀
가 인식하는 경계가 생긴다고 하는 세 가지 처소는 모두 없어
서 혀와 맛 그리고 혀의 경계, 이 세 가지는 본래 인연도 아니
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네가 밝힌 것과 같이 '몸과 접촉이 인연이 되어서
몸의 인식이 생긴다'고 하나니 그 인식은 몸으로 인하여 생기
는 것이므로 몸으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면
접촉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므로 접촉으로 경계를 삼아야 한
다고 생각하느냐?
아난아! 만약 몸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라면 반드시 합해지
고 나눠지는 두 가지를 깨닫게[覺觀]할 인연이 없으리니 몸이
무엇을 알겠느냐?
만약 접촉으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면 반드시 너의 몸이 없어
야 하리니 어찌 몸도 아닌 것이 합하고 나뉘어짐을 알겠느냐?
아난아! 물질이 접촉하여도 알지 못하고 몸이라야 접촉이 있
음을 아나니 몸을 안다면 곧 그것은 접촉하는 놈이고 접촉함을
안다면 곧 그것이 몸이니, 그렇다면 곧 접촉하는 놈이라면 몸
이 아니고 몸이라면 접촉하는 놈은 아니다. 몸과 접촉하는 놈
이 두 가지는 본래 처소가 없는 것이다. 몸에 합하면 곧 몸 자
체의 성품이 되고 몸에서 떠나면 곧 허공과 같은 모양이므로
안과 밖이 이루어지지 않거니 중간이 어떻게 성립되겠느냐? 중
간이 성립되지 아니하면 안과 밖의 성격이 빌 것인데 너에게
인식하는 것이 생긴다고 한들 어데를 좇아 경계가 성립되겠느
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몸과 접촉하는 것이 인연이
되어서 몸과 인식의 경계가 생긴다고 하는 세 가지는 모두 없
는 것이어서 몸과 접촉하는 것 그리고 몸의 경계, 이 세 가지
는 본래 인연이 아니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아! 네가 밝힌 것과 같아서 '뜻과 법진(法塵)이 인연이
되어서 의식(意識)이 생긴다'고 하는데, 그 의식은 뜻으로 인
하여 생기는 것이라서 뜻으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느
냐? 아니면 법진(法塵)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라서 법진으로
경계를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느냐?
아난아! 만약 뜻으로 인하여 생긴 것이라면 네 의중(意中)에
는 반드시 생각하는 것이 있어서 너의 뜻을 나타나게 하리니
만약 앞의 법진(法塵)이 없으면 뜻이 생길 곳이 없을 것이다.
대상을 여의고서는 형상이 없는 것이거니 의식을 어디다 쓰겠
느냐?
또 너는 의식하는 마음과 모든 생각으로 헤아리는 것과 겸하
여 분명하게 분별하는 성품이 같다고 생각하느냐 다르다고 생
각하느냐? 뜻과 같으면 그것이 곧 뜻일 터이니 어떻게 생긴 것
이며 뜻과 다르면 같지 아니하므로 응당 인식하는 것이 없어야
하리니, 만약 인식할 것이 없으면 어떻게 뜻이 생긴다고 하겠
으며, 만약 인식할 것이 있다면 어떻게 의식(意識)이라고 하겠
느냐? 같거나 다르거나 한 두 성품이 성립됨이 없으니 경계가
어떻게 성립되겠느냐?
만약 법진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라면 세간의 모든 법이 다
섯 가지 대상을 벗어나지 못하나니 너는 빛, 소리, 향기, 맛,
접촉을 살펴 보아라. 모양이 분명하여 다섯 가지 감각기관을
상대할지언정 뜻의 간섭을 받는 것은 아니니 너의 의식이 결정
코 법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라면 너는 지금 자세히 보아라.
'법진'이라는 그 법은 어떤 모양이더냐? 만약 밝고 어둡거나
움직이고 고요하거나 통하고 막혔거니 그대로 있고 변하거나
합하고 떠나거나 함을 벗어나면 이 여러 가지 모양을 뛰어 넘
고서는 마침내 얻을 것이 없으리니 생긴다면 물질이나 허공 등
의 모든 법(法)이 생겨날 것이고 없어진다면 물질이나 허공 등
의 모든 법이 없어지느니라.
인연하는 것이 이미 없거니 인연으로 해서 의식이 생기는 것
이 어떤 형상이 되겠느냐? 모양이 없으면 경계가 어떻게 생기
겠느냐?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한다. 뜻과 법진이 인연이 되어서
뜻이 인식하는 경계가 생긴다고 하는 세 가지는 모두 없어서
뜻과 법진 그리고 뜻의 경계, 이 세 가지는 본래 인연이 아니
며 자연도 아닌 성품이니라.
아난이 부처님께 아뢰기를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늘 화합과 인연에 대하여 말씀하시기
를 '일체 세간에 갖가지 변화가 모두 네 가지 원소의 화합으로
인하여 드러난다'고 하셨는데 어찌하여 여래께서 인연과 자연
두 가지 다 아니라고 배척하셨습니까? 제가 지금 그 뜻이 의미
하는 바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바라옵건대 가엾게 여기시어 중
생들에게 중도의 또렷한 이치를 보이시와 장난같은 논리에 빠
짐이 없도록 하여 주시옵소서."
그 때에 세존이 아난에게 말씀하시기를
"네가 앞에서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의 모든 소승법(小乘
法)을 싫어해서 발심하여 무상보리(無上菩提)를 성실하게 탐구
하므로 내가 지금 너에게 제일의제(第一義諦)를 열어 보였거늘
어찌하여 또다시 세간의 장난같은 논리인 망상의 인연에 스스
로 얽매이느냐? 네가 비록 많이 들었다고는 하나 마치 약을 말
하는 하는 사람이 참다운 약이 앞에 있는데도 이를 분별하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여래가 진실로 너를 가련하다고 하신 것이
니라."
너는 지금 자세히 들어라. 내 마땅히 너를 위하여 분별해서
열어 보이며 또한 장래에 대승을 닦을 자들로 하여금 실상을
통달하게 하겠다.
아난이 잠자코 부처님의 훌륭한 가르침을 받들었다.
아난아! 네 말과 같아서 '네 가지 원소[四大]가 화합하여 세
간의 갖가지 변화를 일으킨다'고 하니, 아난아! 만약 저 원소
[大]의 성품 자체가 화합이 아니라면 모든 원소와 섞일 수 없
음이 마치 허공의 모든 물질이 화합할 수 없는 것과 같고, 만
약 화합할 수 있다면 변화함과 같아서 처음과 끝이 서로 이루
어지며 나고 없어짐이 서로 이어져서 났다가는 죽고 죽었다가
는 나며 나고 나고 죽고 죽음이 마치 화륜(火輪)이 도는 것과
같아서 쉼이 없으리라.
아난아! 마치 물이 얼음이 되었다가 얼음이 다시 물이 되는
것과 같나니라.
네가 땅의 성품을 살펴 보아라. 큰 것은 큰 땅덩이가 되고
작은 것은 미세한 먼지가 되나니, 인허진(隣虛塵)에 이르러서
는 아주 지극히 작은 색변제상(色邊際相 : 지금의 분자)을 일
곱 등분으로 쪼개어서 이루어진 것이니 다시 인허진을 쪼갠다
고 한들 어찌 참다운 허공의 성품이야 되겠느냐?
아난아! 만약 저 지극히 작은 먼지를 쪼개어 허공이 된다면
허공도 물질의 모양을 생겨나게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니
라.
네가 지금 '화합으로 말미암아 세간에 모든 변화하는 현상이
생기지 않느냐'고 물었으니 너는 우선 이 하나의 지극히 작은
먼지를 보아라. 몇 개의 허공이 합해져서 이루어진 것이냐?
응당 지극히 작은 먼지가 합해져서 지극히 작은 먼지가 되지
는 않았을 것이다. 또 지극히 작은 먼지를 쪼개어 허공이 된다
면 얼마나 되는 물질이 합해서 허공이 되었겠느냐?
만약 물질이 합해졌을 경우 물질이 합해진 것이지 허공은 아
니며 만약 허공이 합해졌을 경우 허공이 합해진 것이지 물질은
아니니, 물질은 오히려 쪼갤 수가 있지만 허공이야 어떻게 합
할 수가 있겠느냐?
너는 원래 알지 못하는구나. 여래장 가운데 성품이 물질인
참다운 허공과 성품이 허공인 참다운 물질이 청정하고 본래의
자연 그대로여서 이 우주에 두루하여 중생의 마음을 따라 아는
바의 정도에 응하여 업보대로 나타나거늘 세간 사람들은 지식
이 없어서 인연과 자연의 성품이라고 의혹하고 있으니 이는 다
식심(識心)으로 분별하고 헤아리는 것이므로 다만 말이 있을
뿐이지 실제 이치는 전연 없는 것이니라.
아난아! 불이라는 원소[火大]의 성품은 실체가 없어서 모든
인연에 붙어야만 하나니 너는 이 성 안에 밥을 먹지 아니한 집
을 보아라. 밥을 지으려고 할 적에 손에 양수(陽燧)를 들고 햇
볕 앞에서 불을 구하나니
아난아! 화합이라고 이름한다면 이는 마치 내가 너희들 一千
二百 五十비구들과 지금 한 무리가 된 것과 마찬가지니 그 무
리는 비록 하나이나 그 근본을 따지면 각각 몸이 다르며 모두
태어난 씨족과 그 이름이 따로 있으니 사리불은 바라문 종족이
고 우루빈나는 가섭바(迦葉波)종족이고 그리고 아난은 구담(瞿
曇)의 종성인 것과 같나니라.
아난아! 만약 불의 성품이 화합으로 인하여 있는 것이라면
저 손이 거울을 잡고 햇빛에서 불을 구할 적에 그 불은 거울
속에서 나오는 것이냐 쑥에서 나오는 것이냐 아니면 해에서 나
오는 것이냐? 아난아! 만약 해에서 나왔다면 자연 네 손에 있
는 쑥을 태울 적에 거쳐 오는 곳의 숲과 나무가 모두 타야 할
것이며, 만약 거울에서 나온 것이라면 거울에서 나와 쑥을 태
울 수 있는 것인데 거울은 어찌하여 녹지 않느냐? 네 손에 들
려 있으면서도 오히려 뜨겁지도 아니하니 어떻게 녹겠느냐? 만
약 쑥에서 생긴 것이라면 어째서 해와 거울의 빛이 서로 닿은
다음에댜 불이 생기느냐?
너는 또 자세히 보아라. 거울은 손에 들려 있고 해는 하늘에
서 오며 쑥은 땅에서 난 것인데 불은 어느 곳으로부터 여기에
온 것이냐? 해와 거울이 거리가 멀어서 화합한 것이 아니니 그
렇다고 불꽃이 나는 데가 없이 저절로 생긴 것도 아니니라.
네가 오히려 알지 못하는구나! 여래장 속에 성품이 불인 참
다운 허공과 성품이 허공인 참다운 불이 청정하고 본래 자연
그대로여서 우주에 두루 퍼져 있으면서 중생의 마음을 따라 아
는 바의 정도에 따라 응하는 것이다. 아난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세상 사람들이 한 곳에서 거울을 들면 한 곳에 불이 생
기고 우주에 골고루 들고 있으면 온 세상에 가득하게 일어날
것이다. 온 세상에 골고루 생기는데 어찌 장소가 따로 있겠느
냐? 업보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거늘 세상 사람들은 지혜가 없
어서 인연과 또는 자연의 성품으로 의혹하고 있으니, 이는 다
의식하는 마음으로 분별하고 생각하여 헤아리는 것이다. 다만
말로만 있을 뿐이지 실제 의미는 전연 없나니라.
아난아! 물의 성품은 일정하지 않아서 흐르고 그치는 것이
항상함이 없나니라. 시라벌성에 가비라(迦毘羅)신선과 작가라
(斫迦羅)신선과 발두마(鉢頭摩)와 하살다(訶薩多)등의 환술사
들이 달[太陰]의 정기를 구하여 그것으로 환술의 약을 화합할
적에 그 환술사들의 달밝은 밤중에 손에 방저(方諸)를 들고 달
속의 물을 받는데 그 물은 구슬 속에서 나온 것이냐 공중에서
저절로 생긴 것이냐 아니면 달에서 온 것이냐?
아난아! 만약 달에서 온 것이라면 오히려 먼 곳에 구슬로 하
여금 물이 생기게 할 수 있는 것이거니 그렇다면 경과하는 곳
의 숲과 나무가 다 물이 흘러야 하리니 물이 흐른다면 어찌하
여 방저(方諸)에서 생기기를 기다릴 것이며 흐르지 않는다면
물이 달에서 오는 것이 아님이 분명하다.
만약 구슬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그 구슬 속에 항상 물이 흐
르리니 어찌하여 밤중에 밝은 달빛을 받을 필요가 있겠느냐?
만약 허공에서 생긴다면 허공의 성품이 변두리가 없으므로 물
도 마땅히 한계가 없어서 인간으로부터 하늘에 이르기까지 다
함께 물에 잠길것인데 어찌하여 다시 물과 육지와 허공의 구별
이 있겠느냐?
너는 다시 자세히 보아라. 달은 하늘에 떠 있고 구슬은 손에
들려 있고 구슬의 물을 받는 쟁반은 본래 사람이 설치해 놓은
것이니 물은 어디로부터 여기에 흐르느냐? 달과 구슬은 거리가
서로 멀어서 화합한 것이 아니니 물의 정기가 오는 데가 없이
저절로 생기지는 아니할 것이다.
너는 아직도 알지 못하는구나! 여래장 가운데 성품이 물인
참다운 허공과 성품이 허공인 참다운 물이 청정한 본래의 자연
그대로여서 우주에 두루하여 중생의 마음을 따라서 아는 바의
정도에 따라 응하나니 한 곳에서 구슬을 잡으면 한 곳에 물이
나오고 온 우주에서 두루 잡으면 우주에 가득하게 생긴다. 세
상에 가득하게 생기는데 어찌 장소가 따로 있겠느냐? 업보를
따라 나타나는 것이거늘 세상 사람들은 지혜가 없어서 인연과
또는 자연의 성품으로 의혹하고 있으니 이는 다 의식하는 마음
으로 분별하고 헤아리는 것이다. 다만 말만 있을 뿐이지 실제
의미는 전연 없는 것이다.
아난아! 바람의 성품은 실체가 없어서 움직이고 고요함이 일
정하지 아니하다. 네가 옷깃을 여미고 대중에게 들어갈 적에
가사 자락이 펄럭여서 곁에 있던 사람에게 미치면 곧 가벼운
바람이 그 사람의 얼굴에 스치리니 그 바람은 가사에서 나오느
냐 허공에서 생겼느냐 그 사람의 얼굴에서 생겼느냐?
만약 허공에서 생긴다면 네 옷이 펄럭이지 아니하였을 적에
는 어떤 연고로 바람이 스치지 않느냐? 허공의 성품은 항상 있
는 것이므로 바람도 마땅히항상 있어야 할 것이며 바람이 없
을 적에는 허공이 마땅히 없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바람이
없는 것은 알 수가 있지만 허공이 없어지는 것은 어떤 모양일
까? 만약 생기거나 없어짐이 있다면 허공이라고 이름하지 못할
것이고 허공이라고 이름한다면 어찌하여 바람이 나오겠느냐?
만약 바람이 그 사람의 얼굴에서 저절로 생기는 것이라면 그
사람의 얼굴에서 생기는 것이므로 마땅히 네게로 불어와야 할
것인데 네가 옷을 여밀적에 어찌하여 바람이 꺼꾸로 부느냐?
너는 자세히 보아라. 옷을 여미는 것은 너에게 있고 얼굴은
저 사람에 속해 있으며 허공은 고요하여 요동하지 않는데 바람
은 어느 곳으로부터 불어오는 것이냐? 바람과 허공은 성품이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화합이 아니니 바람이 어디서부터 온
데가 없는데 저절로 생기지는 않았을 것이니라.
너는 완전하게 알지 못하는구나. 여래장 속에 성품이 바람인
참다운 허공과 성품이 허공인 참다운 바람이 청정하고 본래 자
연 그대로여서 우주에 두루해서 중생들의 마음으로부터 아는
바 정도에 따라 응하나니 아난아! 만일 너 한 사람이 의복을
약간 펄럭이면 가벼운 바람이 나오고 우주에 골고루 펄럭거리
면 우주에 가득하게 생기나니 세상에 골고루 생기는데 어찌 장
소가 따로 있겠느냐? 업보를 따라 나타나거늘 늘 세상 사람들
은 지혜가 없어서 인연과 또는 자연의 성품으로 의혹하나니 이
는 다 의식하는 마음으로 분별하고 헤아림이니 다만 말로만 있
을 뿐이지 실제 의미는 전연 없는 것이다.
아난아! 보고 깨닫는 것이 앎이 없어서 물질과 허공으로 인
하여 생기나니 네가 지금 기타림에 있을 적에 아침에는 밝고
저녁에는 어두우며 설사 밤중이라도 보름달이 비출 적에 환하
고 그믐에는 어두운데 그 밝고 어두운 것들을 보는 것으로 인
하여 분석하나니, 보는 것이 밝고 어두운 형상과 아울러 큰 허
공과 똑같이 한 덩어리이냐 한 덩어리가 아니냐? 혹 같기도 하
고 같지 않기도 하며 혹 다르기도 하고 다르지 않기도 하느냐?
아난아! 그 보는 것이 밝음과 어두움, 그리고 큰 허공으로
더불어 본래 한 덩어리라면 밝고 어두운 두 가지 실체가 서로
없애서 어두울 적엔 밝음이 없어지고 밝을 적엔 어두움이 없어
지리라.
만약 어둠과 한 덩어리라면 밝은 적에는 마땅히 보는 놈이
없어질 것이며 반드시 밝음과 한 덩어리라면 어두울 적에는 마
땅히 보는 놈이 없어질 것이다. 없어지면 어떻게 밝음과 어두
움을 보겠느냐? 만약 밝음과 어두움은 다르다고 할지언정 보는
놈은 생기고 없어짐이 없을 것인데 한 덩어리가 어떻게 성립되
겠느냐?
만약 이와 같이 보는 정기가 밝음과 어둠으로 한 덩어리가
아니라면 너는 밝음과 어둠 그리고 큰 허공을 여의고서 보는
놈의 근원을 분석해 보아라. 어떤 모양이겠느냐? 밝음을 여의
고 어두움을 여의며 그리고 허공을 여의면 보는 놈은 본래 거
북의 털이나 토끼 뿔과 같을 것이니 밝음과 어두움 그리고 허
공, 이 세 가지가 다 다르다면 무엇으로 인하여 보는 놈이 성
립되겠느냐?
밝음과 어두움은서로 배치되는데 어떻게 같다고 하겠으며
세 가지를 다 여의면 본래 없는데 원래 없는 것은 어떻게 다르
다고 하겠으며, 허공을 보는 놈을 나눈다면 본래 한계가 없는
데 어떻게 같지 않다고 하겠으며, 어두움도 보고 밝음도 보아
서 보는 성품이 변하여 바뀌지 않는데 어떻게 다르지 않다고
하겠느냐?
너는 다시 자세하게 살펴 보아라. 밝음은 태양으로부터 오고
어두움은 달이 없는데서 오며 통함은 허공에 속하고 막힘은 대
지(大地)로 돌아간다. 이와 같아서 보는 정기는 어디로 인하여
생기느냐?
보는 것은 깨달음이고 허공은 완고한 것이어서 화합이 아니
니 보는 정기가 어디서부터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니라.
오묘하게 보고 듣고 아는 것이 그 성품이 원만하고 두루하여
본래 동요하는 것이 아니다. 마땅히 알아야 한다. 변두리가 없
고 동요하지 않는 허공과 동요하는 흙, 물, 불, 바람을 아울러
여섯 가지 원소라고 이름하나니 성품이 참되고 원융하여 모두
가 여래장이므로 본래 생기고 없어짐이 없나니라.
아난아! 너의 성품이 잠겨 빠져서 네가 보고 듣고 깨달아 아
는 것이 본래 여래장임을 알지 못하나니 너는 마땅히 이 보고
듣고 깨달아 아는 것을 관찰해야 한다. 생기더냐 없어지더냐
같더냐 다르더냐 생기는 것도 없어지는 것도 아니냐 같음도 다
름도 아니냐?
너는 전혀 알지 못하는구나. 여래장 가운데 성품이 보는 것
인 참다운 허공과 성품이 허공인 참다운 봄이 청정하고 본래
자연 그대로여서 우주에 두루하여 중생의 마음을 따라서아는
바 정도에 따라 응하나니, 이는 마치 하나의 보는 놈이 우주를
두루보는 것처럼 듣는 놈, 냄새맡는 놈, 맛보는 놈, 접촉하는
놈, 그리고 깨달아 아는 놈이 오묘한 덕이 밝아서 우주에 두루
하고 시방에 원만하거니 어찌 장소가 있겠느냐? 업보를 따라
나타나는 것이거늘 세상 사람들은 지혜가 없어서 인연과 그리
고 자연의 성품으로 의혹하나니 이는 다 의식하는 마음으로 분
별하고 헤아리는 것이니 다만 말로만 있을 뿐이지 실제의 의미
는 전연 없나니라.
아난아! 의식의 성품은 근원이 없어서 여섯 가지의 감각기관
과 그 대상으로 인하여 허망하게 생기나니라.
네가 지금 이 모임의 성스러운 대중들을 두루 살필 적에 눈
으로써 차례로 둘러보는데 그 눈이 둘러보는 것은 다만 맑은
거울과 같아서 별달리 분석할 것이 없겠지만 너의 의식은 속에
서 차례로 지목하기를 이는 문수이고 부루나이며, 이는 목건련
이고 수보리이며, 이는 사리불이라고 할 것이니라.
그렇게 아는 의식이 보는 놈에서 생기는 것이냐 대상에서 생
기는 것이냐 허공에서 생기는 것이냐 까닭없이 돌연히 나오는
것이냐?
아난아! 만약 너의 의식의 성품이 보는 가운데에서 생긴다면
밝고 어두운 것과 물질과 허공은 없을 것이다. 이 네 가지가
반드시 없으면 따라서 너의 보는 것도 없어지리니 보는 성품도
오히려 없거니 무엇으로부터 의식이 발생하느냐?
만약 너의 의식하는 성품이 대상 속에서 생기고 보는 것을
따라 생기는 것이 아니라면 이미 밝음도 보지 못하며 어두움도
보지 못해서 밝고 어두움을 보지 못하면 곧 허공과 물질이 없
으리니 그 대상도 오히려 없거니 의식이 무엇으로부터 발생하
겠느냐?
만약 허공에서 생겼다면 대상도 아니고 보는 놈도 아닐지니
보는 놈이 아니라면 분별함이 없어서 자연 밝음도 어두움도 허
공도 물질도 알지 못할 것이며, 대상이 아니라면 인연이 없어
져서 보고 듣고 깨닫고 알고 하는 것이 편안하게 성립할 곳이
없을 것이다. 대상도 아니고 보는 것도 아닌 데에 있다고 한다
면 허공은없는 것과 같을 것이고 있다고 하더라도 물질의 형
상과는 같지 않을 것이니 비록 너의 의식이 발생한다한들 무엇
을 분별하겠느냐?
만약 원인도 없이 돌연히 나온 것이라면 어찌하여 한낮에는
밝은 달을 인식하지 못하느냐?
너는 다시 세밀하고 자세하게 살피고 관찰하라. 보는 놈은
네 눈에 의지하였고 대상은 앞에 나타나는 대상을 미루어 말하
는 것이니, 형상할 수 있는 것은 있는 것이고 형상할 수 없는
것은 없는 것이 되나니 이와 같은 의식의 인연이 무엇으로 인
하여 생기느냐? 의식은 움직이고 보는 놈은 맑아서 화(和)도
아니고 합(合)도 아니며 듣고 냄새 맡고 깨닫고 아는 것도 역
시 마찬가지다. 그러니 의식의 인연이 좇아서 온 데가 없이 스
스로 생기지는 아니하니라.
만약 이 의식하는 마음이 본래 좇아온 데가 없다면 마땅히
알아야 한다. 확실하게 분별하는 보고 듣고 깨닫고 알고 하는
것이 원만하고 고요하고 맑아서 그 성품이 좇아온 데가 없는
것이니, 저 허공과 흙, 물, 불, 바람을 겸하여 균등하게 일곱
가지 원소라고 하나니 성품이 참되고 원융하여 모두가 여래장
이므로 본래 생기거나 없어짐이 없나니라.
아난아! 네 마음이 거칠고 허망해서 보고 듣고 밝음을 발하
여 확실하게 아는 것이 본래 여래장임을 알지 못하나니 너는
마땅히 이 여섯 가지 처소에서 의식하는 마음을 관찰하여 보아
라. 같으냐 다르냐 빈 것이냐 있는 것이냐? 아니면 같은 것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더냐 빈 것도 아니고 있는 것도 아니더
냐?
너는 일찌기 알지 못하는구나. 여래장 가운데 성품이 의식인
참다운 허공과 성품이 허공인 참다운 의식은 오묘한 깨달음이
맑고 고요하여 우주에 두루해서 시방세계를 삼켰다 뱉었다 하
는데 어찌 장소가 따로 있겠느냐? 업장을 따라 나타나는 것이
거늘 세상 사람들은 지혜가 없어서 인연과 그리고 자연의 성품
으로 의혹하나니 이는 다 의식하는 마음으로 분별하고 헤아림
이니 다만 말로만 있을 뿐이지 실제 의미는 전연 없나니라.
아난아! 허공의 성품은 형상이 없으므로 색깔로 인하여 나타
나나니 이는 마치 시라벌성처럼 강이 먼 곳에 모든 찰제리 종
족과 그리고 바라문과 비사와 수타와 또는 바라타와 전다라 등
이 편안히 살 곳을 새로 세우면서 우물을 파서 물을 구할 적에
흙을 한 자[尺]쯤 파내면 그 속에 한 자의 허공이 생기고 이와
같이 흙을 한 길[丈]쯤 파내면 그 속에 다시 한 길의 허공이
생기게 되어 허공의 얕고 깊음이 흙을 많이 파내고 적게 파내
는 것에 따라 생기나니 허공은 흙으로 인하여 생기느냐 파내는
도구로 인하여 생기느냐 까닭도 없이 저절로 생기느냐?
아난아! 만약 또 혀공이 까닭도 없이 저절로 생기는 것이라
면 흙을 파내기 전에는 어찌하여 걸림이 없지 아니해서 오직
아득한 대지(大地)만 보이고 멀리 통달하지 못하더냐? 만약 흙
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라면 흙을 파낼 적에 응당 허공이 줄
어들어감을 보아야 할 것인데 만약 흙이 먼저 나오는데도 허공
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어떻게 허공이 흙으로 인하여 생긴다고
하겠느냐? 만약 나오거나 줄어들어감이 없다면 허공과 흙이 본
래 다른 원인이 없을 것이니 다른 원인이 없으면 같은 것이거
늘 그렇다면 흙이 나올 적에 허공은 어찌하여 나오지 않느냐?
만약 파내는 것으로 인하여 허공이 생긴다면 마땅히 파내는
데에 따라 허공이 생기는 것이므로 흙은 나오지 않아야 할 것
이며 파내는 것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 아니라면 파냄으로해
서 흙이 나오는 것이거늘 어찌하여 허공을 보게 되느냐?
너는 다시 세밀하고 자세하게 살피고 관찰하라. 파내는 도구
는 사람의 손으로부터 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흙은 땅으로 인하
여 옮겨지니 이와 같이 허공이 무엇으로 인하여 생기느냐? 파
내서 허공이 되게 함은 허(虛)와 실(實)이 서로 작용하지 못해
서 화합함이 아니니 응당 허공도 어느 곳으로부터 온 데가 없
이 저절로 생긴 것이 아니니라.
만약 이 허공의 성품이 원만하고 두루하여 본래 요동하지 않
는 것이라면 마땅히 알아야 한다. 앞에서 밝힌 흙, 물, 불, 바
람과보는 것, 의식, 그리고 허공과 함께 균등하게 일곱 가지
원소[七大]라고 하니 그 성품은 참되고 원융하여 모두가 여래
장이므로 본래 나고 없어짐이 없나니라.
아난아! 너의 마음이 혼미해서 네 가지 원소가 본래 여래장
임을 깨닫지 못하는구나. 허공을 살펴 보아라. 나오느냐 들어
가느냐 나오고 들어가는 것이 아니냐?
너는 원래 알지 못하는구나. 여래장 가운데 성품이 허공인
참다운 깨달음과 성품이 깨달음인 참다운 허공은 청정하고 본
래 자연그대로여서 우주에 두루하여 중생의 마음을 따라서 아
는 바의 정도에 따라 응하느니라. 아난아! 만약 하나의 우물을
파서 공간이 생기면 허공이 한 우물만치 생기는 것과 같아서
시방의 허공도 그와 같이 시방에 원만한 것이거니 어찌 방향과
장소가 있겠느냐? 업장을 따라 나타나는 것이어늘 세상 사람들
은 알지 못하여 인연과 그리고 자연의 성품인양 의혹하나니 이
는 모두가 의식하는 마음으로 분별하고 헤아리기 때문이니 다
만 말로만 있을 뿐이지 실제 의미가 전연 없는 것이니라.
그때에 아난과 대중들이 부처님의 오묘한 가르치심을 받고서
몸과 마음이 환하게 열려서 걸림이 없어지고 모든 대중들이 각
각 스스로 마음이 시방에 가득함을 깨달아서 시방의 허공 보기
를 마치 손에 가지고 있는 나뭇잎을 보듯하며, 모든 세상의 사
물들이 모두 보리의 오묘하고 밝은 원래의 마음임을 깨달았다.
그리고 마음의 정기가 두루하고 원만해서 시방을 둘러싸고 있
어 부모가 낳아준 몸을 돌이켜 보되 이는 마치 저 시방의 허공
속에 나부끼는 한 작은 먼지가 있는 듯 없는 듯한 것과 같고,
마치 큰 바다에 떠가는 한조각 물거품이 생기고 없어짐이 좇아
온 데가 없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여겨 분명히 스스로 깨달아
서 본래 오묘한 마음이 항상 머물러서 없어지지 아니한다는 것
을 증득하였다. 그래서 부처님께 예배하고 합장하여 일찍기 없
었던 초유의 일을 얻고서는 여래의 앞에서 게송을 읊어 부처님
을 찬탄하였다.
미묘하고 청정한 덕을 모두 지니신 흔들림이 없으신 세존께서
는 수능엄왕으로서 세상에 드문 존재이십니다.
저의 억겁 동안 뒤바뀌었던 허망한 생각을 없애 주셔서
아승지겁을 거치지 않고서도 법신을 얻게 하였습니다.
지금 저희들도 성과(聖果)를 얻어 보왕(寶王)이 되어서
이렇게 항하사 같이 많은 중생을 제도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깊은 마음으로 티끌 같은 세계의 모든 부처님을 받들
것이오니 이것은 부처님의 은혜를 갚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원하건대 세존께서는 증명하여 주소서.
맹세코 오탁(五濁)의 악세에 먼저 들어가서
단 하나의 중생이라도 성불하지 못한다면
그들을 위하여 열반에 들지 않겠습니다.
큰 자비와 큰 힘을 지니신 거룩하신 분이시여
다시금 저희들의 미세한 의혹을 없애게 하사
저로 하여금 하루 바삐 위 없는 깨달음에 올라
시방 세계의 도량에 앉게 하여 주소서.
허공[舜若多]의 성품은 없앨 수 있을지언정
굳고 굳은 이 마음은 변함이 없을 것입니다.
<< 卷三 끝 >>
Scrap: 불교 붓다선원...우주와 하나이면 도에 이를 수 있습니다
'수능엄경 首楞嚴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본 수능엄경 권 6, 正本首楞嚴經 券 六, 관세음보살 32응신(三十二應身)과 이근원통(耳根圓通) (0) | 2023.03.28 |
---|---|
정본 수능엄경 正本 首楞嚴經 券 五, 24제자원통수행법 (二十四弟子圓通修行法) (4) | 2023.03.20 |
정본 수능엄경 正本首楞嚴經 卷 四 (2) | 2023.03.19 |
정본 수능엄경 正本首楞嚴經 券 2, (2) | 2023.03.16 |
정본 수능엄경 正本首楞嚴經 卷 1 (2)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