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祭禮 호칭呼稱2 호칭의 예의 (呼稱의 禮儀) 寶城鄕校 儒道大學 典敎 최상전崔相典 호칭의 예의 (呼稱의 禮儀) 1 , 自己父母生存時 남에게 말할 때 아버지를 아버지 父親 家親 嚴親 家父 家嚴이라 하고 어머니를 어머니 母親 慈親 家母 家慈 慈闈라고 하며 子婦가 媤父母에게 말 할 때는 媤父를 아버님 媤父任이라고 하고 媤母를 어머님 媤母任이라 한다. 이는 親父母와 子息之間에는 禮보다 親이 于先이요. 媤父母와 子婦之間에는 血緣이 아닌 結緣이기 때문에 親보다 禮가 于先이기 때문이다. 2 , 남의 부모 생존시 남에게 말할 때 아버지를 아버님 춘부장(春府丈) 영존(令尊) 춘당(春堂) 춘장(春丈)이라 하고 어머니를 어머님 자당(慈堂) 훤당(萱堂) 영당(令堂) 영모(令母)라 한다. 자기 무모가 돌아가신 뒤에 남에 말할 때 아버지를 아버지 선고(先考) 선친(先親) 선인(先人) 선군(先君)이라 하고 어머.. 2023. 3. 3. 제례 (祭 禮) 제례 (祭 禮) 보성향교 유도대학 전교 최상전 (寶城鄕校 儒道大學 典敎 崔相典 ) 제례 (祭 禮) 1, 제례의 기원 (祭禮의 起源) 시초(始初)에 제사(祭祀)를 지내게 된 동기(動機)를 살펴보면 옛날 사람들이 원시적인 생활(原始的인 生活)을 하면서 천재지변(天災地變)과 맹수공격(猛獸攻擊) 질병(疾病)등으로부터 보호(保護)를 받기 위해 하늘과 땅 깊은 물 심수(深水) 거목(巨木) 거암(巨岩) 바다 조상(祖上)등에게 재앙(災殃)을 막아 달라는 소원(所願)을 빌게 된 것이 제사(祭祀)로 발달된 근원(根源)이 된 것이다. 그 후 중세(中世)와 근세(近世)에 이르러유교적(儒敎的)인 조상숭배(祖上崇拜)의 제도(制度)로 바뀌어 내려 오면서 의식절차(儀式節次)에 대(對)한 유학자(儒學者)와 예문가(禮文家)사이에 갑논을.. 2023. 2.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