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선전

무당산 무당파 태극권의 창시자 장삼풍(張三豊)선인

by 성천하지미미자 2023. 4. 8.

도교 양대 교파를 융합하는 데 일조

동한(東漢)때부터 교단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도교는 금나라, 원나라에 이르러 크게 정일교(正一敎)와 전진교(全眞敎), 양대 교파로 나누어진다. 지역적으로 대체로 양자강과 회수(淮水) 남북지역을 경계로 한다.

남쪽은 정일교 위주였고, 북쪽은 전진교 위주였다. 정일교는 주로 도가전적, 단약(丹藥)을 만들어 복용하거나 부적 등을 채용하였다. 전진교는 자신의 도덕수양이나 수련을 중요시하였다. 원나라 말기나 명나라 초기에는 이들 양대 교파가 교류하고 융합하는 추세가 일어났는데 그때 상당한 역할을 한 대표적 인물이 바로 장삼풍(張三豊) 진인이다.

태극권의 창시자

한편 몇 년 전 중국 영화배우 이연걸이 주연한 ‘태극권’이라는 영화가 전 세계에 인기리에 상영된 적이 있다. 이 태극권의 창시자가 장삼풍 도인이다. 무협지에는 중원 팔대문파 중, 무당파의 개파 조사로 그 이름이 무수히 등장하여 보통사람들 귀에 익숙할 것이다.

장삼풍의 이름은 ‘전일’(全一), 호는 ‘삼풍’(三豊)이다. 어떤 사람들은 그의 이름이 ‘군보(君寶)’이고 ‘전일(全一)’은 그의 자라고도 한다. 또 이름이 ‘통(通)’, ‘금(金)’, ‘현일(玄一)’이라고도 하는데 하나뿐 아니라 상당히 많다.

낡은 장삼과 풀로 만든 모자를 쓰고

민간에 전해져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장삼풍은 외관을 꾸미지 않았으며 추위와 더위를 불문하고 늘 한 벌의 다 찢어져가는 장삼과 풀로 엮어서 만든 낡은 모자를 쓰고 다녔는데 시간이 오래되자 낀 때가 반들반들 하게 되어 광이 날 정도였다고 한다. 이 때문에 ‘장납탑’(ZHANG LA TA : 불결하다, 지저분하다는 의미)이라는 이름을 하나 얻었다고 한다.

장삼풍의 본적이 요주(遼州), 의주(懿州), 보계(寶鷄) 등이라는 주장이 있고 심지어 사천, 호북, 산서 등도 그의 고향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정확히 고증하기는 어렵다. 장삼풍이 득도한 시기조차도 송나라, 금나라, 원나라 때라는 각기 다른 주장이 있다. 이러한 불명확한 주장들은 오히려 그의 신비한 면을 나타내기도 하면서 그가 천하를 널리 주유했다는 것을 반영한다. 종적도 또한 일정하지 않다.

한 번 먹으면 수 개월을 먹지 않다

흔히 신선들에 대해 이야기하다보면 기이한 행적과 술법들이 등장하는데 장삼풍도 자연히 예외가 아니다.

밥을 먹으면 한 자리에서 잠깐 동안 솥단지 채로 먹어치웠는데 몇 달 동안은 아무 것도 먹지 않았다고 한다. 하루에 천리를 갈 수 있었고, 각처에 분신(分身)이 동시에 나타났다. 무슨 약을 쓰던지 병을 낫게 할 수 있었고 늙음을 되돌릴 수 있는 회춘의 묘술이 있었다. 죽어가는 병자를 소생시켜 걸어갈 수 있게 하였는데 이러한 불가사의한 일화들이 많이 전해져 온다.

명나라가 세워지고 촉(蜀) 헌왕(獻王)으로 봉해진 주춘(朱椿)은 명태조 주원장의 열한 번째 아들인데 여러 왕자 중에서 비교적 취미가 고상하고 손님을 잘 대접하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주원장은 헌왕(獻王) 주춘(朱椿)을 ‘독수재(獨秀才)’라는 별명으로 불렀다.

이 독수재 주춘이 촉땅 사천에 있을 때 장삼풍을 손님으로 초청해서 환영의 자리를 성대히 마련했다. 그 자리에 참석한 사람들은 진기한 물건들을 선물로 내놓았는데 모두 그 진귀함에 찬탄할 뿐이었다. 이에 대한 답례로 장삼풍이 자리에서 일어나 “빈도(貧道) 또한 변변치 못한 선물을 준비하였사온데 원컨대 전하께서는 웃음으로 받아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하였다.

 

 

땅에 묻은 이빨에서 연꽃잎이 솟아나다

촉 헌왕 주춘의 예물에 대한 답례로 장삼풍은 품속에서 한 손 가득 대추를 꺼냈다. 그 대추들은 반쪽이 붉고 반쪽은 푸른데 모두들 한 나무에서 자란 것들이었다. 그 자리에 참석한 손님들은 비록 뜻밖이라고 느꼈으나 장삼풍이 사전에 몸에 감추고 있었다고 여겼으므로 그리 신기한 것이 못된다고 생각했다. 이때 장삼풍은 연회석에서 황금 잔 하나를 들고는 다른 사람들에게 마당의 흙이 있는 곳으로 나가도록 하였다.

장삼풍은 입안에 손을 넣어 이 하나를 뽑아내어 흙속에 묻었다. 이를 흙속에 묻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에서 푸른색 싹이 트더니 자라기 시작하여 연잎이 되었다. 그 연잎에서 꽃대가 하나 쑤욱 올라오더니 연꽃 한 송이가 피었다. 연꽃 송이는 큰 쟁반만 하였다.

연꽃의 꽃 판은 매 판마다 가지각색의 반점이 있으며 꽃 판이 점점 많아지더니 거의 천개에 육박하였다. 연꽃의 휘황찬란한 빛깔이 집안에 가득하며 맑은 향기가 퍼져 나왔다.

그 자리에 참석한 많은 손님들은 이때서야 비로소 충심으로 기뻐하면서 심복하였다. 촉 헌왕 주춘 또한, 몸소 붓을 들고 시를 지어 장삼풍 진인에게 선물하고 이 날의 성대한 광경을 기록했다.

죽은 장삼풍의 관속에는 시체가 온데 간데 없고

장삼풍이 사천성에서 이러한 도술을 펼치고 있다는 소문이 들려올 때 장삼풍은 이미 한 번 죽었다고 한다. 이 때가 명나라 홍무(洪武) 24년 (1391) 9월이었다. 장삼풍은 죽기 전에 제자들에게 게송까지 남겼다. 죽은 후, 제자 양궤산(楊軌算) 등이 염을 하고 입관했다고 한다. 사천에서 들려오는 장삼풍의 기이한 소문을 듣자 제자들은 감히 믿을 수 없었다.

그래서 마음을 크게 먹고 제자들은 사부 장삼풍의 관을 열어 보았다. 그런데 관속은 텅텅 비어 있었다. 이러한 소식이 경성에 전해지자 명태조 주원장은 사람을 시켜서 장삼풍을 찾았으나 이때부터 장삼풍의 행방이 묘연했다고 한다.

장삼풍 진인은 명나라 초기에 호북성 무당산(武當山)에서 도교 사업을 부흥시켰으며 그 곳에서 전국최대의 도관을 세웠다. 장삼풍이 일찍이 무당산을 방문했을 때 도관이 전쟁으로 피폐해져 잡초만 무성했다. 그러나 그는 제자들에게 “너희들은 이곳을 떠나지 말라, 이곳은 앞으로 크게 흥성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장삼풍 진인 기념관을 무당산에 짓다

명나라 영락제 때 사람을 보내 장삼풍 진인을 다시 찾았으나 종적이 묘연하여 무당산에 ‘태화궁관’(太和宮觀)을 지어 진인의 뜻을 받들었다. 이때부터 무당산은 도교활동의 중심 무대가 되었다. 명 영종 때에는 장삼풍 진인을 기리는 제사를 지냈으며 그리고 ‘통휘현화진인’(通徽顯化眞人)이라는 법호를 내렸다.

최근에 중국을 시작으로 하여 전 세계에 “법륜대법”(法輪大法: 파룬궁)을 전하고 있는 이홍지(李洪志) 선생은 장삼풍 진인의 태극권과 관련하여 의미심장한 시 한편을 지었는데 한 번 음미해 보시기 바란다.

태극(太極)
진인개세장삼풍(眞人蓋世張三豊)
진인 장삼풍의 명성, 세상을 뒤덮었는데
대도무적천지행(大道無敵天地行)
큰 도를 천하에 펼칠 때 적이 없었다
후세위명난권법(後世爲名亂拳法)
후세 사람들, 명예를 위해 권법을 어지럽히는데
개오태극괴오명(改吾太極壞吾名)
나의 태극권을 고치고 내 이름을 무너뜨리는구나

 

출처 : 기공과 기치유
글쓴이 : 조화도술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