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은화상행장 取隱和尙行狀
여이양병나 폐기호서 余以養病懶 廢棄湖西 내가 호서에서 아무 쓸모 없는 생활로 게으른 병만 기르기를
이십유여년의 二十有餘年矣 이십여년이었다
문취은화상지덕형 聞取隱和尙之德馨 취은화상의 도덕의 향기가
원표이인남북형격 遠飄而因南北迥隔 멀리까지 나부낌은 이미 들었지만 남북이 멀리 떨어져
미득친고 이척심진 未得親叩 而滌心塵 친히 찾아 뵙고 마음의 때를 씻지 못하였는데
이화상 엄연귀적 而和尙 奄然歸寂 화상께서 홀연히 입적하시니
기용한 특심언 其用恨 特深焉 그 한스러움이 매우 깊었다
광무사년동 유운유지 光武四年冬 有雲遊志 광무 4년 겨울에 구름처럼 떠 돌다가
과조계지송광사 過曹溪之松廣寺 조계산 송광사를 지날적에
시적궁음 만지설옹풍명 時適窮陰 滿地雪擁風鳴 때마침 극심한 겨울이라 대지 가득히 눈 보라가 심하여
잉이신숙선창 仍以信宿禪窓 선방에 묵고 있노라니
유자응 금명 자성삼형제 有慈應 金明 慈城三兄弟 자응 금명 자성 삼형제가
위여왈 謂余曰 나에게 말하기를
" 아선전취은화상지시순간 我先傳取隱和尙之時順間 " 우리 선사 취은 화상의 생존시에
출세도업 수비고조사지가견 出世道業 雖非古祖師之可肩 세속을 벗어 난 도업이 비록 옛 조사와 견줄 바는 아니로되
이어근세야 한유문견언 以御近世也 罕有聞見焉 근세에는 보고 듣기 어려운 분이니
이선전지고행 위사자자 以先前之高行 爲嗣資者 선사의 행적으로서 대를 이을 자료가
의기저기행장 이전후가야 宜其著其行狀 以傳後可也 될 만한 것을 추려 마땅히 행장을 지어 후세에 전하는 것이 옳커늘
이금상미언자 미하가언 以今尙未焉者 未暇焉 이제까지 하지 못한 것은 기회가 없었음이니
이황고사문명 소저 而況高師文名 素著 마침 큰 스님께서 문장이 유명하시고
선오역심 이적임우차 禪奧亦深 而適臨于此 선지가 또한 깊으신 어른이시니 이 곳에 오신 계제에
원차고사지일언 願借高師之一言 원하옵건대 스님의 한 말씀을 빌려
이방아선전지유적 以芳我先傳之遺跡 우리 선사의 유적을 빛나게 하여 주십시요
부여시칙 夫如是則 이렇게 하면
비특아선전지행업 非特我先傳之行業 다만 우리 선사의 행업이
헌뢰불후 軒磊不朽 썩지 않을 뿐 아니라
이불녕등제사족 而不佞等諸嗣足 우리 따르던 문도들도
역족이무여감언 亦足以無餘憾焉 또항 여한이 없을 것이오니
청고사지불인서여가호 請高師之不悋緖餘可乎 " 청컨대 큰 스님께서 문필을 아끼지 마소서 " 하거늘
여재삼추사 余再三推辭 내가 재삼 사양하자
이기청미근 而其請彌勤 그 청함이 더욱 간절하여
근안기사족지소록 謹案其嗣足之所錄 삼가 문도들의 기록한 바를 상고하니
화상 휘 민욱 법호 취은야 和尙 諱 旻旭 法號 取隱也 화상의 휘는 민욱이요 법호는 취은이며
속성 최씨 해주후인야 俗姓 崔氏 海州后人也 속성은 최씨이며 해주후인이다
이가경이십년을해 以嘉慶二十年乙亥 가경 이십년 을해
시기숙어어경상도봉화지 始寄宿於慶尙道奉化地 경상도 봉화 땅에 의지하여
이옥첨하과래자 而屋簷下過來者 지내온 것이
기익년구월언 유이장 其翌年九月焉 幼而壯 그 이듬해 구월이다 어려서부터 장년이 되고
차할언 유노성풍도의 且할(黑吉)焉 有老成風度矣 영리하였으며 늙어서는 풍치와 절도가 있었다
십사세 홀연 유출진지취 十四歲 忽然 有出塵之趣 십사세에 홀연히 세상을 벗어날 뜻이 있어서
북투태백산각화사 北投太白山覺華寺 태백산 각화사로 들어가
진주장로 축발수계 秦珠長老 祝髮受戒 진주 장로에게 귀의하여 머리 깎고 계를 받았다
수세연 타환망 隨世緣 打幻妄 세상 인연을 따라 망상을 물리치려다
역유년소 기증오기보리도법 亦有年所 豈曾悟其菩提道法 또한 몇 해가 되었으나 어찌 일찌기 깨달음의 도법이
불이세간야 不離世間耶 세상을 떠나지 않음을 알았겠는가 ?
년지불혹 참초은장로 年至不惑 參超隱丈老 사십세에 초은 장로를 찾아 뵙고
우태백산미륵암 于太白山彌勒庵 태백산 미륵암에서
섭의염지 결택정안 攝衣染指 決擇正眼 옷깃을 여미고 법을 물으니 바른 눈을 결택해
사자도계 시봉십유여추 師資道契 侍奉十有餘秋 사자의 도가 서로 계합하여 받들어 모시기를 십여년을 하였으니
응유득기현오지경 이지재도회 應有得其玄奧之境 而志在韜晦 응당 그 현묘하고 깊은 경지를 알리지 않고 숨겼으므로
인막득이지언 후년 육십팔계미 人莫得以知焉 後年 六十八癸未 사람들은 알지 못하였고 뒤에 육십팔세 되던 계미년에
우두류산반야봉하 용수휼와 십년 寓頭流山般若峯 龍樹(휼矞(雨변))窩 十年 지리산 반야봉 아래 용수굴에서 십년을
괴좌 백려회냉 도지성성 塊坐 百慮灰冷 道智惺惺 등상불같이 앉아서 생각들은 재와 같이 싸늘해지고 도 닦는 지혜가 성성하여
홀연유돈오처 忽然有頓悟處 홀연히 몰록 깨달음이 있었다
고인운 古人云 옛 사람이 이르기를
" 여인음수 냉난 자지자" "如仁飮水 冷煖 自知者 " "사람이 물을 마심에 차고 더움을 스스로 안다 "는 것이
차야 此也 이것이다
청허선사운 淸虛禪師云 청허선사께서 이르시기를
"영가천겁 윤회생사 "寧可千劫 輪廻生死 차라리 천겁을 생사에 윤회할 지언정
불모제성해탈 선가지안야 不慕諸聖解脫 禪家之眼也 모든 성인의 해탈을 사모하지 않는 것이 선가의 눈이요
불견인지시비 선가지족야" 不見人之是非 禪家之足也" 사람의 시비를 보지 않는 것이 선가의 말이라 " 하셨다
화상지발심야 기이돈오이오지 和尙之發心也 期以頓悟而悟之 화상의 발심으로 돈오의 깨침은 가히 깨침을 기약하였고
이오후이생애 여장검의천 而悟後生涯 如長劍倚天 깨친 뒤의 생애는 장검을 허공에 휘두르는 것 과 같았으니
칙기어선안 유기서기언 則其於禪眼 有其庶幾焉 선가의 방장으로 안목이 갖추어졌음인즉
이청황보불 관현기조 而靑黃黼黻 管絃技操 푸르고 누르고 황홀한 빛깔 피리 불고 거문고 뜯는
불용농고 이시비자절 선가지족야 不用聾瞽 而是非自絶 禪家之足也 귀 먹고 눈 멀지 않았지만 시비가 절로 끊어졌으니 선가의 말이
가위십분주원야 可謂十分周圓也 가위 십분 두루 원만하도다
개북입향산 남유두류 반생행리 盖北香山 南遊頭流 半生行李 대개 북으로는 향산 남으로는 두류산에 노니는 반생의 行李가
여한운 야학 이역불이탈주 如閑雲 野鶴 而亦不以脫酒 한가로운 구름과 들에 노니는 학 또한 세속을 초월한 듯
위아소이자고 爲我所而自高 스스로 자기를 높이는 아상이 없었으니
기소온어중자 득이위왕정중 其所蘊於中者 得以偉旺鄭重 그 속에 쌓인 거룩하고 정중함
부대지자이후지야 不待智者而後知也 뒤에 알아 주기를 기다리지 않는 슬기로운 분이었다
당칠십구년 갑오추 주석우 동리지미타암 當七十九年 甲午秋 住錫于 桐裏之彌陀庵 칠십구세 되던 갑오년 가을 동리산 미타암에 주석하면서
설선회 진현풍 탁이기행 設禪會 振玄風 卓異其行 선회를 베풀고 현풍을 드날리며 탁월하고 기이한 행동으로
지노불태야 至老不怠也 늙었어도 게으르지 않았다
월삼년기해 욕복기종노지소 越三年己亥 欲卜其終老之所 삼년 뒤 기해년에 마지막 보낼 곳을 가리어
안거우명적난야지삼년 安居于明寂蘭若之三年 명적암 별실에 주석한 지 삼년이 되던
기해정월 초삼일 감미질 己亥正月 初三日 感微疾 기해년 정월 초칠일에 약간의 병을 얻어
지십사일신시 입멸 오호 至十四日申時 入滅 嗚呼 십사일 신시에 입적하였다 오 호 !
유상필공 재세자지소불면야 有相必空 在世者之所不免也 형상이 있는 것은 반드시 공으로 돌아 가는 것을 면치 못하는 일이로다
이기나도인지승화야 而其奈道人之乘化也 그 도인의 변화를 보이니 어찌하리요
산야개통도불이 山野皆痛悼不已 산과 들 대중이 모두가 슬픔을 이기지 못하였으니
하기임멸야 신심 한안 何其臨滅也 身心 閑安 그입적할 때에 정신이 안온하고
단좌여평일 端坐如平日 단정히 앉기를 보통 때와 같았다
시유원주혜운상좌 문왈 時有院主慧雲上座 問曰 이 때 원주이던 혜운상좌가 묻기를
"화상 금욕입멸 사산상핍 和尙 今欲入滅 四山相逼 "화상께서 이제 열반에 드시고자 하시니 지수화풍 사대가 핍박하는데
기정혜일념 견응불매호아 其定慧一念 堅凝不昧乎" 定慧 일념이 뚜렸하여 혼미하지 않습니까 ?"
화상 수기침자이이 和尙 竪起枕子已而 화상께서 목침을 일으켜 세우더니
엄연좌서 奄然坐逝 조금 앉아서 엄연히 입적하셨다
구지화상지수기일지 俱지和尙之竪起一指 구지화상의 한 손가락 일으켜 세운 것을
종불이노망귀지 終不以鹵莽歸之 마침내 부질없는 짓으로 돌리지 말라
이보천한열 초박타동 而普天寒熱 焦搏打凍 온 세계가 차고 더운데 불덩어리를 얼음으로 치는 것이
역시주살외변야 亦是走殺外邊也 또한 밖으로 내달리는 것이다
화상지수기일침야 和尙之竪起一枕也 화상께서 한 목침을 세운 것은
능살능활 能殺能活 능히 죽이고 능히 살리며
유조유용지소식 有照有用之消息 비춤도 있고 묘용도 있는 소식이로다
암주지대조주야 庵主之對趙州也 암주인 조주화상을 대하는 것이
불필전미어고야 不必專美於古也 반드시 옛적에만 아름다웠던 것이 아니로다
기야삼고 일도서광 횡공 여홍교 其夜三鼓 一道瑞光 橫空 如虹橋홍교 그날 밤 한 줄기 서광이 허공을 가로질러 무지개와 같았으며
경사유후 오일이기광 증정 오색 經闍維後 五日而其光 增淨 다비를 한 뒤에도 오일이 지나도록 그 빛이 더욱 밝았으며
오색 산합은조상운사집 五色 散合隱照祥雲四集 오색이 흩어졌다 모인 것이 여러차례이고 상서로운 구름이 공중에 가득하여
윤윤간착 원근치백 첨모경탄 綸輪間錯 遠近緇白 瞻慕敬歎 이상한 모양이 섞여 찬란하므로 멀고 가까운 승속이 우러러 찬탄하기를
여고도인 입멸시야 如古道人 入滅時也 예전 도인의 입멸시와 같다고들 하였다
개화상 생어가경이십일년 병자 盖和尙 生於嘉慶二十一年 丙子 화상은 가경 21년 병자년에 출생하여
입멸어대한광무삼년 기해 수팔십사 入滅於光武三年 己亥 壽八十四 대한 광무 3년 기해년에 입멸하니 세수가 84세요
십사세 출가수계 납 칠십일야 十四歲 出家受戒 臘 七十一也 14세에 출가하여 수계받아 법납이 71세이다
화상 사 초은 의유 和尙 嗣 超隱義有 화상의 문인으로 초은의유가 있었고
초은 사연월이준 超隱 嗣淵月以俊 초은의 제자에 연월이준이 있었다
이부휴전지백암 而浮休傳之碧菴 부휴선사는 벽암에게 법을 전했고
벽암전지취미 碧菴傳之翠微 벽암선사는 취미에게 전하였고
취미전지백암 翠微傳之栢庵 취미는 백암에게 전하고
백암전지무용 栢庵傳之無用 백암은 무용에게
무용전지영해 無用傳之影解 무용은 영해에게
영해전지풍암 影海傳之楓巖 영해는 풍암에게
풍암전지벽담 楓巖傳之碧潭
벽담전지영월 碧潭傳之詠月
영월전지락파 詠月傳之樂坡
락파전지연월화상 樂坡傳之淵月和尙 락파선사는 연월화상에게 법을 전하였다
어부휴 십이대손야 於浮休 十二代孫也 화상은 부휴선사의 12대손으로
어태고 위십칠세사야 於太古 爲十七世嗣也 저 태고선사의 17세손이다
불화점잔 정법안장 佛化漸殘 正法眼藏 부처님의 교화가 점점 쇠잔하여 정법안장이
도지이진 이화상 능전정혜 塗地而盡 而和尙 能傳定慧 땅에 묻혔는데 화상께서 능히 정혜를 닦아
대정퇴강 어사세야 大整頹綱 於斯世也 무너진 기강을 크게 정돈하니 이 세상에 있어
가위화중연화야 찬하가진 可謂火中蓮花也 讚何可盡 가히 불 속의 연꽃이라 말로써 어찌 다 찬탄하리요
여이소용 폐기무용어세 黎以疎慵 廢棄無用於世 나는 쓸모없는 존재로 세상에 쓰일데 없어
이불화지위폐막자 而佛化之爲弊막(疾변莫)者 부처님 교화에 폐단이 되어
백단구발 百端俱發 백가지 폐스러움이 함께 일어나
이도덕 불능제득 而道德 不能濟得 도덕적으로 능히 건지지 못하니
문장 역하구언 文章 亦何救焉 문장으로 또한 어떻게 구원하겠는가
인차감분 치기문묵 因此感憤 置其文墨 이 때문에 또한 분개하여 문묵을 놓아 버린지
이십여엄의 已十餘엄(木嚴)矣 이미 십여년이 된지라
황열진염량 문사쇠락 況閱盡炎凉 文辭衰落 하물며 더위와 추위를 지나면서 글 쓰기에도 힘쓰지 않았고
무소용심어장구등사 無所用心於章句等事 문장에 마음 쓴 바가 없는데
이제인화상지출세도업 而第因和尙之出世道業 이제 화상이 세상에 나와 도업이
탁이기여사 이기사족 卓異其如斯 而其嗣足 탁월하고 기이함이 이러하며 그 제자들
금명 등어형제지근청 우기여사 金明 等語兄弟之勤請 又其如斯 금명등의 형제들의 간청이 또한 이러함으로
불가이강사이귀언 不可以强辭而歸焉 억지로 만들기는 불가함이나
어시호 기사략여우 이우서호 於是乎 旣士略如右 而寓敍乎 이에 대략 이와 같이 서술함이니라
其前日未得 親扣之餘恨之 전 날의 모른 것을 물었으나 아쉬움이 남지만
만일운이 萬一云爾 만분의 일이라도 이에 이르노라
대한광무사년 경자 大韓光武四年 庚子
등월하한 騰月下澣 정월 하순
호서귀석경허 湖西歸釋鏡虛 호서로 돌아가는 석경허
조계산 송광사 차안당중 曹溪山 松廣寺 遮眼堂中 조계산 송광사 눈을 가리는 눈 속의 집에서
분향근서 焚香謹書 분향하고 삼가 글을 쓰다
'경허법어 경허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장상사김석두서 上張上舍金石頭書 경허선사 서간문 鏡虛禪師 書簡文 (1) | 2023.04.28 |
---|---|
서룡화상행장 瑞龍和尙行狀 경허선사 鏡虛禪師 (1) | 2023.04.27 |
귀암화상영찬 龜菴和尙影讚 경허선사 鏡虛禪師 (0) | 2023.04.24 |
동곡화상영찬 東谷和尙影讚 경허선사 鏡虛禪師 (1) | 2023.04.24 |
고암화상영찬 古菴和尙影讚 경허선사 鏡虛禪師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