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역경(明道易經)
일월합삭상영허소장도주(日月合朔象盈虛消長圖註)
일(日)이 가면 월(月)이 오고 월(月)이 가면 일(日)이 오는 것이
일월(日月)의 도(道)는 채워지고 비워지며 자라나고 사라짐의
초하루와 그믐이 나아가고 물러남의 이치이다.
(日往則月來 月往則日來 日月之道者 盈虛消長朔望進退之理也)
음력 초하루는 삭(朔)이 되고 이 때의 음(陰)이 가득차서 양(陽)이 비워진 상(象)이다.
십오일(十五)은 보름인 망(望)이 되어 양(陽)이 가득차고 음(陰)이 비워진 상象()이다.
초팔일(初八日)은 상현(上弦)이 되어
이것을 군자의 도는 자라나고 소인의 도는 사라진다 하였다.
(君子道長하고 小人道消也) 라.
이십삼일(二十三日)은 하현(下弦)이 되어
이것을 소인의 도는 자라나고 군자의 도는 사라진다 .하였다.
(小人道長하고 君子道消也)라
합삭(合朔)이라는 것은 일월(日月)이 합(合)하는 합벽(合璧)하는 날이 삭(朔)일이다.
정월(正月)초하루는 일월(日月)이 원효(元효)에서 합삭(合朔)이 되고
이월(二月)의 초하루는 일월(日月)이 취자(취자)에서 합삭(合朔)이 된다.
매월마디 일궁(一宮)씩 지나가고 십이궁(十二宮)을 역(逆)으로 지나간다.
도상(圖象)을 참고하면 알 수가 있다.
일월(日月)이 가득 차고 비워짐으로
음양(陰陽)이 자라나고 사라짐으로 대도(大道)로 건너가는 나루가 되고 다리가 된다.
매월(每月)의 초하루 자시(子時)에서 초삼일(初三日)사시(巳時)에 이르면
일양(一 陽)이 나아가고 일음(一陰)이 후퇴한다.
곤(坤)이 변하여 복(復)이 된다.
초오일(初五日)해시(亥時)에 이르면 진이양(進二陽)하고 퇴이음(退二陰)한다.
복(復)이 변하여 임(臨)이 된다.
초팔일(初八日)사(巳時)시에 이르면 진삼양(進三陽)하고 퇴삼음(退三陰)한다.
임(臨)이 변하여 태(泰)가 된것이다.
초십일(初十日) 해시(亥時)에 이르면 진사양(進四陽)하고 퇴사음(退四陰)한다.
태(泰)가 변하여 장(壯)이 되었다.
십삼일(十三日)사시(巳時)에 이르면 진오양(進五陽)하고 퇴오음(退五陰)한다.
장(壯)이 변하여 쾌(쾌)가 되었다.
십오일(十五日)해시(亥時)에 이르면 진육양(進六陽)하고 퇴육음(退六陰)한다.
쾌(쾌)가 변하여 건(乾)이 되었다.
십팔일(十八日)사시(巳時)에 이르면 진일음(進一陰)하고 퇴일양(退一陽)한다.
건(乾)이 구(구)가 되었다.
이십일(二十日)해시(亥時)에 이르면 진이음(進二陰)하고 퇴이양(退二陽)한다.
구(구)가 변하여 돈(돈)이 되었다.
이십삼일(二十三日)사시(巳時)에 이르면 진삼음(進三陰)하고 퇴삼양(退三陽)한다.
돈(돈)이 변하여 부(否)가 되었다.
이십오일(二十五日)해시(亥時)에 이르면 진사음(進四陰)하고 퇴사양(退四陽)한다.
부(否)가 변하여 관(觀)이 되었다.
이십팔일(二十八日)사시(巳時)에 이르면 진오음(進五陰)하고 퇴오양(退五陽)한다.
관(觀)이 변하여 박(剝)이 되었다.
삽십일(三十日)해시(亥時)에 이르면 진육음(進六陰)하고 퇴육양(退六陽)한다.
박(剝)이 변하여 곤(坤)이 되었다.
이상의 일월(日月)이 모여 합(合)하는 것을 논(論)하는 것은
음양(陰陽)사라지고 자라나는 것을 괘(卦)로 표현한 것이다.
일년(一年)십이월(十二月)을 차례로 묶으면 곧 일년(一年)의 조화(造化)가 있는 것이요.
일월(一月)에도 십이변괘(十二變卦)가 있음으로 일월(一月)의 조화(造化)가 있다.
무릇 사람은 하나의 작은 천지(天地)요
만약 능히 역리(易理)를 참구하여 깨닫고
이를 몸으로 돌이켜 궁구 하면
어찌 도(道) 이루지 못함을 근심 할 것인가. ?

'주역 명도역경 64도주 周易 明道易經 64 圖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명도역경(明道易經)태극양의상사상팔괘도주(太極兩儀象四象八卦圖註) (0) | 2023.05.02 |
---|---|
주역 명도역경(明道易經)건도변화상각정성명도주(乾道變化象各正性命圖註) (1) | 2023.05.01 |
주역 명도역경 태극변화상동정음양도주(太極變化象動靜陰陽圖註) (1) | 2023.04.29 |
주역 명도역경(明道易經) 황극경세상괘기주류도주(皇極經世象卦氣周流圖註) (1) | 2023.04.28 |
주역 명도역경(明道易經)혼천갑자상납갑근종도주(渾天甲子象納甲根宗圖註)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