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달마대사어록達摩大師語錄20

달마 관심론(觀心論) 11 달마 관심론(觀心論) 11 모든 계행 법답게 지켜 보호하고 반드시 삼독 끊어 몸과 마음 청정 又持齋者 當須會意 不達其理 徒施虛功 齋者齊也 所謂勤治身心 不令散亂 持者護也 우지재자 당수회의 부달기리 도시허공 재자제야 소위근치신심 불령산란 지자획야 所謂於諸 戒行 如法護持 必須禁六情 制三毒 勤修覺察 淸淨身心 了如是義 소위어제 계행 여법호지 필수금육정 제삼독 근수각찰 청정신심 요여시의 可名爲齋 又持齋者 食有五種 一者法喜食 所謂依如來正法 歡喜奉行 二者禪悅食 가명위재 우지재자 식유오종 일자법희식 소위의여래정법 환희봉행 이자선열식 所謂內外澄寂 身心悅樂 三者念食 所謂常念諸佛 心口相應 四者願食 소위내외징적 신심열락 삼자염식 소위상념제불 심구상응 사자원식 所謂行住坐臥 常行善願 五者解脫食 所謂心常淸淨 不染世塵 持五淨食者 名爲.. 2023. 3. 11.
달마대사 達摩大師 관심론(觀心論) 7 달마 관심론(觀心論) 7 육바라밀은 배와 같아서 모든 중생 피안으로 운반 能制舌賊 不貪邪味 讚詠講說 無疲厭心 名爲精進 能伏身賊 於諸觸欲 湛然不動 名爲禪定 능제설적 불탐사미 찬영강설 무피염심 명위정진 능복신적 어제촉욕 담연부동 명위선정 能調意賊 不順無明 常修覺慧 樂諸功德 名爲智慧 又度者運也 六波羅密 喩若船筏 능조의적 불순무명 상수각혜 악제공덕 명위지혜 우도자운야 육바라밀 유약선벌 能運衆生 達彼岸故 云六度 능운중생 달피안고 운육도 혀의 유혹을 다스리면 그릇된 맛을 탐내지 않고, 불법을 읊고 이야기하되 피로하다거나 싫어함이 없는 것을 정진이라 하며, 육신의 유혹을 항복받으면 모든 감촉(感觸)의 욕망에 담담해져서 흔들림이 없는 것을 선정이라 하며, 뜻을 잘 다스리면 무명(無明)을 따르지 않고 항상 깨침의 지혜를.. 2023. 3. 10.
달마대사 관심론 達摩大師 觀心論 달마대사 관심론1 ​ 관심론(觀心論)은 달마(達磨 :-528)스님의 어록이다. 인도의 승려로 중국에 건너와 대승불교를 일으킨 중국 선종의 시조이다. ​ 이 관심론은 대승불교의 중심사상인 에 관해서 문답형식에 의해 전개하고 있다. 다시 말해 교리나 문자에 의하지 않고 바로 사람의 마음을 직관하여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음을 설파하신 것이다. 승속(僧俗)을 막론하고 반드시 읽어야 할 귀중한 보서(寶書)이다. ​ 달마 관심론(觀心論) 1 “오직 마음을 觀하는 한 법이 모든 行을 다 거두어들이는 것” ​ 惠可問曰 혜가문왈 若有人 志求佛道 當修何法 最爲省要 약유인 지구불도 당수하법 최위성요 師答曰 사답왈 唯觀心一法 摠攝諸行 名爲最要 유관심일법 총섭제행 명위최요 問曰 문왈 云何一法 摠攝諸行 운하일법 총섭제행 .. 2023. 3. 9.
달마대사 선어록, 이입사행론, 혈맥론, 오성론, 달마 선어록 달마의 선어록에 들어가기 전에 달마 선어록은 달마의 제자들이 기록한 것으로서, 진정으로 달마의 말만이 기록되었다고 할 수 없고, 또한 달마는 소승불교의 깨달은 자로 일컬어지는 아라한들을 비난하는 대승불교에 속해 있었으며, 중국에 전해진 불교계를 확장시키기 위해 그 자신의 깨달음에 반대되는 말(대승불교의 경전내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는 각자(覺者)의 지적이 있다. 따라서, 본 내용에서는 원문의 일부 내용을 정정하였으며(예, 마음 →.무심), 기록자의 말이라고 판단되는 부분, 아라한을 비난하는 부분, 및 달마 자신의 깨달음에 반대되는 부분(즉, 대승불교의 경전내용)은 삭제하였다.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 망상을 등지고 실체로 돌아와 벽을 마주하고 앉은 사람은 나도 없고 남도 없음을 깨닫는다. 그에..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