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어 法語
니우후 泥牛吼
진흙 소의 울음
부참선자, 제일파포착, 무상신속, 생사사대.
고, 고인, 운, "금일수존, 명역난보, 긴긴염착," 소무방일.
夫參禪子, 第一怕怖着, 無常迅速, 生死事大.
故, 古人, 云, "今日雖存, 明亦難保, 緊緊念着," 所無放逸.
대저 참선을 하는 사람은 첫 째로 변화하는 무상이 신속하고, 나고 죽는 생사의 일이 큰 것임으로 두려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이르기를, "오늘은 비록 살아 있으나, 내일을 기약하기 어려우니, 긴장하고 긴장하여 정신을 똑 바로 차려야 한다." 조금도 마음을 놓고 한가하게 방일해서는 안된다.
차어일체세사, 활약무사소우의, 적연무위, 내가이.
약내심경, 상탕, 여신화상교, 분분골골, 과료세월, 차비특유방어거화분상, 이흑업, 점증의.
此於一切世事, 闊若無些少于意, 寂然無爲, 乃可耳
若乃心境, 相盪, 如薪火相交, 紛紛汨汨, 過了歲月, 此非特有妨於擧話分上, 而黑業, 漸增矣.
다음은 온갖 세상 일에 조금도 간여하고 싶은 생각이 없이, 오직 고요하게 지내면서 하고 싶은 일도 없이 寂然無爲 해야 할 따름이다.
만약 마음과 주변 환경이 서로 부딪혀서, 땔 나무에 불이 붙듯이, 번잡스럽게 세월을 보내 버리면, 이것은 특히 화두를 잡아 공부하는 사람에게는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어두운 업 黑業을 쌓을 뿐으로, 어두운 업보만 더 할 뿐이다.
최요적, 무심어사, 무사어심칙, 심지자연청영, 만류개수심조작, 작선, 생천당, 작악, 현지옥, 낭악, 성표랑, 우준, 작구인, 경망, 취호접, 고, 고인, 운, "지인일념차, 현출만반형."
最要的, 無心於事, 無事於心則, 心智自然淸瀅, 萬類皆隨心造作, 作善, 生天堂, 作惡, 現地獄, 狼惡, 成豹狼, 愚蠢, 作蚯蚓, 輕忙, 就蝴蝶, 故, 古人, 云, "只因一念差, 現出萬般形."
최고로 요긴한 것은 세상 일에 무심으로 대하여, 마음에 일이 없으면 마음의 지혜가 자연히 맑게 빛나고 일체의 모든 일이 마음 따라 이루어지나니, 착한 선행으로 천당에 나고, 나쁜 악행으로 지옥에 나타나며, 포악하면 범과 이리가 되고,
어리석으면 지렁이나 곤충이 되고, 빠르고 가벼워 바쁘면 나비로 태어 난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이르기를, "단지 한 생각 잘 못 생각한 것이 온갖 만가지 형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하였다.
부허기심, 성성수일, 불요불혼, 광연허활, 경향향처멱생사, 하처멱보리, 하처멱선악, 하처멱지범.?
지저시활발발, 명역력저, 투정투저, 불수생생, 불수멸멸, 불작불, 불작조, 대포사계, 소입미진, 우능불능생.
夫虛其心, 惺惺粹一, 不搖不昏, 曠然虛豁, 更向響處覓生死, 何處覓菩提, 何處覓善惡, 何處覓持犯.?
祗這示活潑潑, 明歷歷底, 透頂透底, 不隨生生, 不隨滅滅, 不作佛, 不作祖, 大包娑界, 小入微塵, 又能佛能生.
대저 그 마음을 텅 비워 깨끗하고 순수하게 하여, 흔들리지도 않고 어둡지도 않게 하여, 허공과 같이 넓게 트이면, 다시 어느 곳에서 나고 죽는 생사를 찾으며, 어느 곳에서 깨침의 보리를 찾으며, 어느 곳에서 좋고 나쁜 선악을 찾으리,
어느 곳에서 계를 지키고 계를 범하는 것을 찾으랴.
다만 이 활발하여 저 근원의 밑에서 부터 저 위까지 뚜렷하고 역력히 밝아, 생기는 데 따르지 않고, 없어지는 데도 따르지 않으며, 부처도 생각하지 않고, 조사도 생각하지 않아, 크게 온 우주를 감싸고, 작게는 작은 먼지 속으로 들어 가서, 또한 능히 부처도 되고, 능히 중생도 되는 것이다.
우비대소, 비방원, 비명암, 자재융통, 철저임마,경비소분, 강주적도리
부참차현문자, 상무반조, 구지용심, 성밀무간단, 구지지절, 지어무용심가구지지, 맥연심로홀절, 답착본명원진, 지저본지풍광, 본자구족, 원타타지, 무흠무잉, 도임마시, 응이시, 여백천일월, 조요십방, 응안시, 여함해풍랑, 성타수미, 불시강위야.
저개도리, 지위태근, 소이, 인자불득체해야.
又非大小, 非方圓, 非明暗, 自在融通, 徹底恁麽, 更非小分, 强做的道理
夫參此玄門者, 常務返照, 究之用心, 惺密無間斷, 究之至切, 至於無用心可究之地, 驀然心路忽絶, 踏着本命元辰, 祗這本地風光, 本自具足, 圓陀陀地, 無欠無剩, 到恁麽時, 應耳時, 如百千日月, 照耀十方, 應眼時, 如鹹海風浪, 星打須彌, 不示强爲也.
這箇道理, 只爲太近, 所以, 人自不得體解也.
또 크고 작은 것도 아니며, 네모 반듯하고 둥근 것도 아니며, 밝은 것도 어두운 것도 아니요,
자유 자재로 융합하고 소통하며 융통하여 조금도 억지로 강제 하는 것 아니다.
대저 이 현묘한 문으로 들어 와 참구하는 사람은 자신의 마음을 비추어 반조하고 힘써서, 마음이 또렸하게 성성하고 빽빽하여 빈 틈이 없이 참구 하기를 지극히 간절하고 정성스럽게 하여 참구한다는 마음 조차 다 하고 아무 생각 없는 무심의 경지에 이르러, 홀연히 마음 길이 끊어져서, 근본 본성 자리에 이르게 되면, 본래의 본지풍광이 구족하여 또렸한 경지이다.
모자랄 것도 없고 남는 것도 없어서, 이러한 때를 당하여서는 백가지 천가지 해와 달 백천일월이 시방 세계에 밝게 빛나
귀에 부딪칠 때에는 거대한 바닷물의 풍랑 소리가 수미산을 때리는 것과 같은 것이 일부러 그런 것이 아니다.
이 도리가 지극히 가까워서 사람이 스스로 체험하여 알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
범욕참현자, 착실리회, 반조법식, 분명형용, 득세심불노망, 용의행지, 행지공열, 실상지리, 자현.
태고화상, 운, "재거전몰석."
청허화상, 운 "여문자상철우, 향하취불득처, 화신투입." 거화두참구자, 당이사언, 위지남.
凡欲參玄者, 着實理會, 返照法式, 分明形容, 得勢審不鹵莽, 用意行之, 行之功熱, 實相之理, 自現.
太古和尙, 云, "才擧箭沒石."
淸虛和尙, 云, "如蚊子上鐵牛, 向下嘴不得處, 和身透入." 擧話頭參究者, 當以斯言, 爲指南.
무릇 현묘한 이치를 참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착실하게 마음을 비추어 보는 방법을 알아 깨침이 있으면, 분명하게 마음자리의 형상을 자세히 살필 것이고, 아무렇게나 마음을 쓸 일은 아니요.
수행하는 공력이 익어지면 실상의 이치가 자연히 확연하게 드러날 것이다.
태고화상이 이르기를, "화살을 쏘아 바위를 뚫는다.' 하였으니 집중력을 발휘하라는 뜻이고,
청허화상이 이르기를, "모기가 쇠 소 鐵牛의 등을 물어 뚫는 것과 같이 모기 침이 들어갈 데가 없는데 온몸으로 뚫고 들어가라." 하였으니, 화두를 참구하는 사람은 마땅히 이 말로써 지침을 삼을 것이다.
약론일용만행, 흉차공명무물, 육근, 허활지자, 지저시관광적, 편시포시, 지저시정징적, 편시지계, 지저시허유적, 편시인욕,
지저시본명, 상현불매저, 편시정진, 지저시명적불난, 편시선정, 지저시명적료료, 택법관공저, 본자무치저, 분별제법상, 이부동저, 내지수순세연, 무장무애저, 편시지혜,.
고, 달마대사, 운, "관심일법, 총섭제행." 단무배양근주, 막수기지불무.
若論日用萬行, 胷次空明無物, 六根, 虛豁地者, 祗這是寬曠的, 便是布施, 祗這是淨澄的, 便是持戒, 祗這是虛柔的, 便是忍辱,
祗這是本明, 常現不昧底, 便是精進, 祗這是明寂不亂, 便是禪定, 祗這是明寂了了, 擇法觀空底, 本自無癡底, 分別諸法相, 而不動底, 乃至隨順世緣, 無障無碍底, 便是智慧,.
固, 達磨大師, 云, "觀心一法, 摠攝諸行." 但務培養根株, 莫愁其枝不茂.
만일 날마다 쓰는 일용 만가지 행동에, 가슴이 텅 비어 밝고 아무것도 없다면, 안이비설신의 여섯 기관 육근이 텅 비어져서 너그럽고 밝은 자리가 보시이며,
단지 저 깨끗하여 말숙한 것이 계를 지키는 지계이며,
다만 이 부드럽고 온유한 것이 욕된 것을 참는 인욕이며,
단지 본래면목 자신의 본성이 밝으므로 항상 밑 바닥까지 어둡지 않는 것이 꾸준한 정진이며,
다만 저 고요하고 밝은 것이 어지럽지 않는 것이 단정하게 자리 잡은 선정이며,
단지 저 고요하고 밝은 것이 또록 또록하게 마친 것이 법을 가려 택하여 밑 바닥까지 텅빈 것을 관찰하는 것을 어리석음이 없다 한 것이요.
모든 법을 분별하되 동요됨이 없으며, 이렇게 세상을 따라 수순 하되 걸림이 없으며,막히는 것도 없는 것을 지혜라 한다.
그러므로, 달마대사께서 이르시기를, "자신의 마음을 관찰하는 하나의 법이 모든 법을 거느린다" 하였으며,
단지 힘 써서 뿌리를 배양하여 나무를 튼튼하게 기르며, 그 가지와 잎이 무성하지 않는 것을 근심하지 말라.
達磨大師 : 觀心一法 摠攝諸行 : 자신의 마음 흐름을 관찰하는 하나의 법이 행동하는 모든 것을 다스려 거느린다.
단지견성작불, 막수불무신통삼매, 금인, 다분불득참학진정도인, 본색납자, 어불법중, 법리불명, 도안불실, 도시망양기로,
여취여몽, 과료일생,비부.
但知見性作佛, 莫愁佛無神通三昧, 今人, 多分不得參學眞正道人, 本色衲子, 於佛法中, 法理不明, 道眼不失, 都是亡羊岐路,
如醉如夢, 過了一生, 悲夫
다만 본성을 보아 견성하여 성불 할지 언정, 부처님의 신통과 삼매가 나타나지 않는 다고 걱정하지 말라.
요즘 사람들이 다수가 진실하고 바르게 닦아 공부에 힘쓰지 않음이라.
진실하게 발심하여 정진하는 본색납자가 저 불법 가운데 불법의 이치를 밝히지 못하고, 도의 안목도 진실하지 못하여
도무지 갈림길에서 양을 잃은 것 같고, 술 취한 것 같고, 꿈을 꾸듯이 일생을 헛 되게 지나가 버리니 슬프도다.
동산화상, 소위, "가사하, 실인신, 시고자." 차야.
부행도로자, 약초보, 불득기정, 천리지원, 도비공력, 불여불보지위유.
고, 규봉선사, 운, "결택분명, 오리응수." 부욕기삼간모옥, 약불득준승착작척량지교, 차불성취, 황조득원각대가람자,
불유기조지지리, 이성공호재.
東山和尙, 所謂, "袈裟下, 失人身, 是苦者." 此也.
夫行道路者, 若初步, 不得其正, 千里之遠, 徒費功力, 不如不步之爲愈.
故, 圭峯禪師, 云, "決擇分明, 悟理應修." 夫欲起三間茅屋, 若不得準繩斲斫尺量之巧, 且不成就, 黃造得圓覺大伽藍者,
不由其造之之理, 而成功乎哉.
동산화상이 이르기를, "가사를 입고 사람의 몸 잃은 것이 괴로운 것이다." 이것이다.
대저 길을 가는 사람에게 첫 걸음이 바르지 못하면 천리 먼 길 공력만 허비하고,
길 떠나지 않는 것만 못하다.
그러므로 규봉선사가 이르기를, "결정하여 선택하기를 분명하게 하고, 이치를 깨쳐서 닦을 지어다." 하였다.
대저 삼칸 띠집을 지으려고 하더라도, 만일 먹줄 치고, 짜구로 깎아 내고, 자로 재는 공력을 들이지 않으면,
집을 짓기 어려우니 하물며 큰 깨침의 원각의 큰 절을 조성하려면 이치대로 따르지 않고 어찌 성공하겠는가.
욕조호소사칙, 공기차착불성, 사득기리, 미자, 문어인, 미분명, 경문어타유지인, 기불차착취공, 이욕조예호.
欲造胡小事勅, 恐其差錯不成, 思得其理, 未者, 問於人, 未分明, 更問於他有智人, 期不差錯就功, 而欲造詣乎.
작은 일을 하는 데도 잘 못 될까 두려워 하고 그 이치를 생각하고 깨쳐야 할 것이다.
그렇지 못한 사람은 선지식을 찾아 물어야 하고 물어도 알지 못하거든 불법에 밝은 명안조사를 찾아 기어이
잘못 되지 않도록 할 것이다.
현묘지도자, 거시솔이범홀, 미견기자세결택용공자야, 여차이불전공패속자, 기희이.
.玄妙之道者, 擧示率爾泛忽, 未見其仔細決擇用功者也, 如此而不顚孔敗續者, 幾希矣.
.현묘한 도에 나아 가고자 하는 사람이 ,거의가 함부로 소홀히 하여, 그 보고 이해하는 견해를 자세하게 결정하여 선택하하지 않고, 공부를 착수하는 경우에는 중도에 거꾸러지지 않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고, 이렇게 하고서 실패하지 않는 사람이 드물다.
오호, 가불계재.
.嗚呼, 可不戒哉.
슬프도다 어찌 경계하지 않으랴.
부욕계무상, 오명대사자, 불급심사, 장하이득기정로재.
夫欲誡無常, 悟明大事者, 不急尋師, 將何以得其正路哉.
대저 변화해 가는 무상을 경게할 것이요. 큰 일을 깨쳐서 밝히고자 하는 사람은, 급히 스승을 찾지 않으면
장차 어찌 그 바른 길을 얻겠는가.
終
'경허법어 경허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우송 尋牛頌, 잃어버린 마음 소를 찾아 길들이는 노래, 경허선사 鏡虛禪師 (1) | 2023.05.14 |
---|---|
심우도 법문 尋牛圖 法門, 잃어버린 마음 소를 찾아 길들이는 노래, 경허선사 鏡虛禪師. (2) | 2023.05.14 |
일진화 一塵話 소소한 이야기 경허선사 鏡虛禪師 (1) | 2023.05.14 |
시법계당 示法界堂 법계당에게 보이다. 경허선사 鏡虛禪師 (2) | 2023.05.13 |
시중 示衆 대중에게 보이다. 경허선사 鏡虛禪師 (2)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