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허법어 경허선사322

합천군가야산해인사수선사창건기 陜川郡伽倻山海印寺修禪社創建記 경허선사 鏡虛禪師 경허선사 기문 鏡虛禪師 記文 합천군가야산해인사수선사창건기 陜川郡伽倻山海印寺修禪社創建記 여 기호유산수자야 余 嗜好遊山水者也 나는 산수에 노닐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유득편선인시해 遊得徧仙人尸解 두루 노닐다가 몸을 벗어 버리는 시해 선인과 조사창대가람 祖師創大伽藍 조사께서 큰 가람을 창건하시고 유현지왕 이대원력 幽顯之王 以大願力 명부의 십대왕과 현세의 왕이 큰 원력으로 조성대장경판자 助成大藏經板者 대장경판을 조성한 곳이 합천지가야해인야 陜川之伽倻海印也 합천 가야산 해인사라 이미득유 위결연 而未得有 爲缺然 아직 얻어 놀지 못한 것을 유감으로 생각하던 차 결연히 세기해추 방도 열기경 歲己亥秋 訪到 閱其經 1899년 기해년 가을에 찾아 와 경전을 열람하고 요기우 홍류동리 繞其宇 紅流洞裡 가람을 둘러 보고 홍류동에서.. 2023. 5. 4.
범어사 계명암 창건기 梵魚寺鷄鳴庵創建記 경허선사 鏡虛禪師 범어사계명암창건기 梵魚寺鷄鳴庵創建記 근안본사기적운 謹按本寺記蹟云 삼가 살피건데 본사 사적에 밝히기를 지시계명방오간 치지동령 知時鷄鳴房五間 置之東嶺 때를 알려주는 鷄舍 다섯 간을 동쪽 산 마루턱에 설치하였다 하고 우속전운 계명우차 又俗傳云 鷄鳴于此 또 전설에 닭이 이곳에서 울었다 하고 이견암동치 而見庵東峙 암자 동쪽 산마루턱에 유계화석 여계족흔 有鷄化石 與鷄足痕 닭 바위와 닭의 발자욱 흔적이 있는 것을 보게 되니 암호계명 지차야 庵號鷄鳴 志此也 계명암이라고 한 것은 그 뜻이 이러하다 전십년계사삼월 우화장로 前十年癸巳三月 雨華丈老 십년전 계사년 3월 우화 장로가 여기사 혼해강백 동금봉노사 與其嗣 混海講伯 同金峰老師 그 제자 혼해 강백과 금봉 노사와 함께 발대원력 어고계명암기 發大願力 於古鷄鳴庵基 큰 원력을 .. 2023. 5. 3.
동래군금정산범어계명암창설선사기 東萊郡金井山梵魚鷄鳴庵創設禪社記 범어사 계명암에 禪院을 창설함, 경허선사 鏡虛禪師 동래군금정산범어계명암창설선사기 東萊郡金井山梵魚鷄鳴庵創設禪社記 범어사 계명암에 선원을 창설함 "화엄경" 왈 "華嚴經" 曰 화엄경에 이르기를 "보살마하살이대자 대비 대희 대사 위소주처" "菩薩摩訶薩以大慈 大悲 大喜 大捨 爲所住處" "보살마하살이 대자 대비 대희 대사로써 주처를 삼는다" 고 하였고 내지 乃至 그리고 "일체법 평등 위소주처" "一切法 平等 爲所住處" "모든 법이 평등한 곳에 주처를 삼는다" 고 하였으니 저리 시주처 這理 是住處 이것이 곧 머무르는 곳 주처니라 심문분선사왈 心聞賁禪師曰 심문분 선사가 이르기를 "위산화상운 이사무사지묘 위山和尙云 以思無思之妙 위산 화상의 법문에 생각으로 생각을 없애는 묘한 것이 반사영염지무궁 사진환원 返思靈焰之無窮 思盡還源 신령한 빛으로 끊임 없이 일어 나는 생각을 .. 2023. 5. 3.
범어사금강암칠성각창건기 梵魚寺金剛庵七星閣創建記 경허선사 鏡虛禪師 범어사금강암칠성각창건기 梵魚寺金剛庵七星閣創建記 부대지지물 견로 위금강 夫大地之物 堅로(견고할로) 爲金剛 땅 위의 물건으로 가장 견고한 것은 금강 보석이오 주천지요 추요 위북신언 周天之耀 樞要 爲北辰焉 하늘에 빛나는 별 가운데 가장 으뜸 가는 것은 북두칠성이라 이북신추요지조화 爲北辰樞要之造化 북두칠성의 조화는 증장인간수복 이금강견로지삼매 增長人間壽福 以金剛堅로之三昧 인간의 수명과 복을 증진 시키고 금강과 같은 굳은 삼매는 개척출세진량칙 開拓出世津梁則 세속의 고해를 건너는 나룻배와 사다리가 되나니 금강암지유북신전 金剛庵之有北辰殿 금강암에 북신전을 창건 하는 것은 가위여교칠연 可謂如膠漆然 아교풀과 같이 끈끈하고 화려한 칠과 같고 여잠태연 불가이궐일 如岑苔然 不可以闕一 산에 낀 이끼와 같아 하나라도 빼 놓을 수.. 2023.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