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역 명도역경 64도주 周易 明道易經 64 圖註50

주역 명도역경(明道易經) 일월합삭상영허소장도주(日月合朔象盈虛消長圖註) 명도역경(明道易經) 일월합삭상영허소장도주(日月合朔象盈虛消長圖註) 일(日)이 가면 월(月)이 오고 월(月)이 가면 일(日)이 오는 것이 일월(日月)의 도(道)는 채워지고 비워지며 자라나고 사라짐의 초하루와 그믐이 나아가고 물러남의 이치이다. (日往則月來 月往則日來 日月之道者 盈虛消長朔望進退之理也) 음력 초하루는 삭(朔)이 되고 이 때의 음(陰)이 가득차서 양(陽)이 비워진 상(象)이다. 십오일(十五)은 보름인 망(望)이 되어 양(陽)이 가득차고 음(陰)이 비워진 상象()이다. 초팔일(初八日)은 상현(上弦)이 되어 이것을 군자의 도는 자라나고 소인의 도는 사라진다 하였다. (君子道長하고 小人道消也) 라. 이십삼일(二十三日)은 하현(下弦)이 되어 이것을 소인의 도는 자라나고 군자의 도는 사라진다 .하였다. (.. 2023. 4. 30.
주역 명도역경 태극변화상동정음양도주(太極變化象動靜陰陽圖註) 태극변화상동정음양도주(太極變化象動靜陰陽圖註) 태(太)는 가장 크다는 것이요 극(極)은 자라남의 끝에 이른 것이다. 무극(無極이 한번 움직여 동(動)하면 밝은 양(陽)을 생(生)하고 양(陽)이 자라남의 그 끝에 이르러 극(極)에 다다르면 한번 고요하여 정(靜)하였다가 고요하여 정(靜)하면 어두운 음(陰)을 생(生)한다. 무극(無極)은 움직임과 고요함의 동정(動靜)이 없다. 움직임과 고요함의 동정(動靜)은 기운(氣運)이 고동(鼓動)치는 것이다. 기(氣)가 고동처서 한번 움직이기 시작하면 무극(無極) 또한 변화되어 움직이는 것이다. 기(氣)의 기틀이 한번 고요하여 정(靜)하면 곧 무극(無極) 또한 고요함으로 변화되어 정(靜)의 고요함이 된다. 이 한번 움직이는 동(動)과 고요함의 정(靜)이 있으면 이 한번의 .. 2023. 4. 29.
주역 명도역경(明道易經) 황극경세상괘기주류도주(皇極經世象卦氣周流圖註) 명도역경(明道易經) 황극경세상괘기주류도주(皇極經世象卦氣周流圖註) 황극경세(皇極經世)는 본래 소강절(邵康節)성인께서 만드신 것이다. 천원(天元)은 무극(無極)이요. 지원(地元)은 태극(太極)이요 인원(人元)은 황극(皇極)이다. 경(經)은 지나가는 역(歷)이며 세(世)는 운전하는 운(運)이다. 원도(圓圖)는 건괘(乾卦)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되고 하나의 괘(卦)가 여섯괘(卦)으로 변화하여 천지육합(天地六合)의 표(表)에 응한것이다. 괘(卦)가 삼십육괘(三十六卦)로 변하여 삼십육궁(三十六宮)의 춘(春)에 응한다. 괘(卦)가 변하는 법(法)은 두개의효(爻)가 동시에 일어나니 육총괘(六總卦)는 건괘(乾卦)를 쫓아 처음 두개의 효(爻)가 변하여 일어나 양효(陽爻)가 음효(陰爻)로 변하니 건(乾)이 돈(돈)으로 변하였.. 2023. 4. 28.
주역 명도역경(明道易經)혼천갑자상납갑근종도주(渾天甲子象納甲根宗圖註) 명도역경(明道易經) 혼천갑자상납갑근종도주(渾天甲子象納甲根宗圖註) 혼천(渾天)은 복서(卜서(시초서))에서 나오고 납갑(納甲)은 천문(天文)에서 발(發)한다. 이는 문왕(文王)이 만드신바이다. 혼천(渾天)은 혼합(渾合)이고 납갑(納甲)은 사라지고 자라나는 소장(消長)이다. 혼천(渾天)의 뿌리는 방원(方圓)에서 나오니 먼저 건부(乾父)와 곤모(坤母)가 위에서 자리하고 다음으로 남여육자(男女六子)가 아래에 자리한다. 진(震)은 건(乾)의 초효(初爻)의 자리를 얻어 왼쪽의 첫번째요 손(巽)은 곤(坤)의 초효(初爻)의 자리를 얻어 오른쪽의 첫번째에 자리한다. 감()은 건(乾)의 이효(二爻)의 자리를 얻어 왼쪽의 두번째 자리에 자리한다. 이(離)는 곤(坤)의 이효(二爻)의 자리를 얻어 오른쪽에서 두번째이다 간(艮)은.. 2023. 4. 27.